국유단, 인식표 유가족에 전달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이 19일(현지시간) 메흐메흐 찰라르 튀르키예 육군 이병의 인식표가 장식된 감사패를 유가족에 전달하고 있다. 왼쪽부터 튀르키예 해군 아크데니즈 지역사령관 알리 투나 바이살 제독, 고인의 외조카 에미네 체틴, 이 단장, 통역장교 오석범 대위. 국방부 제공
머나먼 타국 땅에서 자유를 위해 싸우다 전사한 22세 튀르키예 육군 이병의 인식표가 유가족에 전달됐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19일(현지시간) 6·25 전쟁 당시 한국에서 전사한 메흐메트 찰라르 이병의 인식표를 고인의 고향인 메르신에 거주하는 유가족 에미네 체틴씨에게 전달했다고 20일 밝혔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해 6·25전쟁 참전용사의 희생을 기억하고 감사와 예우의 뜻을 표하기 위해 제작된 ‘평화의 사도’ 메달도 함께 증정했다.
고인의 인식표는 지난해 4월에 국유단이 경기 포천시 내촌면 국사봉 일대에서 유해발굴 중 수습했다. 당시 국유단에서 각종 문헌 등을 확인해 튀르키예 군 장병들에게 보급된 것임을 확인했다.
고인은 1951년 4월 14일에 전사했으며 유해는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에 안장돼 있어 어떤 상황에서 인식표만 전투 현장에 남겨진 것은 불분명하다. 국유단은 인식표가 발굴된 일대가 1951년 3월 22일부터 4월 22일까지 ‘38선 진격작전’이 발생했던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해 전투 중 분실한 것으로 보고 있다. ‘38선 진격작전’은 1951년 중공군 2월 공세를 저지하고 공세로 전환한 유엔군 2차 반격작전 중 하나다.
국유단은 인식표에 음각으로 새겨진 ‘3113’이라는 숫자를 단서로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 측에 관련 정보를 요청한 결과, 인식표의 주인이 튀르키예 육군 1여단 소속의 메흐메트 찰라르 이병이라는 답변을 받고 유가족에게 인식표를 전달할 수 있었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이미 유해가 수습된 전사자일지라도 낯선 타국에서 치열하게 싸우다 전사한 튀르키예 군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유가족에게 인식표를 전달했다”면서 “앞으로도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영웅들의 작지만 귀한 유품 하나까지도 가족의 품으로 돌려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