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성 있지만 덥고 작업 땐 불편
장병 93% “베레모보다 전투모 선호”
2027년 다시 챙 달린 기본 군모 추진
작년 조달액 11억… “예산 낭비” 지적
육군 베레모
육군이 장병들에게 보급하는 베레모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2027년쯤 과거 전투모를 기본 군모로 되돌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도입 당시부터 논란이 있었던 육군 베레모가 10여년 만에 사라지는 것이다.
26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육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육군은 2027년에는 전투모를 기본 군모로 지정해 보급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 지난달부터는 베레모와 전투모 혼용 확대를 시범 적용하고 있다.
육군은 베레모가 전통과 상징성은 있으나 여름철 폭염에 착용과 관리가 어렵고, 전투력 향상에도 딱히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고 한다. 올해 1월 육군이 1사단 등 8개 부대 17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베레모보다 전투모를 선호하는 장병이 93%였고, 전투모로 군모를 단일화하는 데 찬성하는 비율도 65%나 됐다.
과거 베레모는 육군 가운데서도 정예 병력인 특전사의 상징이었다. 육군은 2011년 신형 디지털 패턴 전투복 등을 새로 보급하면서 기존에 쓰던 챙 모자 형태의 전투모를 폐지하고 베레모를 도입했다. 강인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이후 관련 불만은 끊이지 않았다. 특히 베레모가 여름철에는 열기를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고 햇볕을 가려 주지 못해 각종 작업 시에 오히려 불편을 초래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실제로 혹서기에는 외출·외박 시 부대 위병소만 나가면 더위에 베레모를 벗는 장병들도 많았다고 한다.
육군은 베레모 및 전투모 착용 지침을 꾸준히 개선해 왔다. 2020년 3월에는 베레모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투모를 ‘특수군모’로 도입했고, 같은 해 8월에는 흐리고 비 오는 날이면 영내에서 전투모를 쓸 수 있도록 했다. 2021년 2월에는 휴가와 외출·외박 등을 제외하고 영내·외에서 전투모를 착용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지침 개선 후에도 베레모와 관련한 민원이 계속 이어지자 결국 폐지를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10여년 만에 베레모가 사라지게 되면서 ‘예산 낭비’에 대한 비판은 불가피해 보인다. 최근까지도 베레모와 전투모를 함께 착용하면서 예산은 중복 투입됐다. 베레모는 개당 6830원, 전투모는 6300원으로 지난해 베레모 조달 금액만 11억원이었다.
박 의원은 “불편한 군모 착용을 강요하기보다 장병들이 편하게 쓸 수 있는 군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군의 역할”이라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반영해 베레모를 폐지하고, 육군의 상징성을 살린 새 군모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10-2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