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휴 첫날 긴급브리핑 통해 대북메시지 발신

정부, 연휴 첫날 긴급브리핑 통해 대북메시지 발신

입력 2014-01-30 00:00
수정 2014-01-30 18: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산가족·북핵 문제 동시 언급도 눈길

정부가 설 연휴 첫날인 30일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통해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관련한 입장을 조속히 밝히라고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정부가 명절 연휴 기간 보도자료 배포도 아닌 공식 브리핑 방식으로 대북 메시지를 내놓은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이는 만 3년 넘게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이번에는 반드시 조기에 성사시키겠다는 정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정부는 다음달 17일∼22일 금강산에서 이산 상봉 행사를 열자고 지난 27일 제의했다. 그러나 북한은 지금까지 아무런 응답을 주지 않으면서 의도적으로 시간을 끄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우리가 제의한 29일 적십자 실무접촉이 무산되는 등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2월 중순 상봉 일정 성사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최소한 설 연휴 직후에라도 반응을 보일 수 있게 하려면 정부가 대북 압박 수위를 한층 높일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내렸을 것이란 관측이다.

이런 기류를 반영하듯 정부는 이날 긴급 브리핑에서 “책임지지 못할 제안이라면 하지 않는 것이 이산가족의 상처를 줄이는 일이 될 것”이라며 전날보다 북한을 한층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정부의 이날 대응은 긴급하게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후가 돼서야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관련한 대북 메시지를 통일부가 낸다는 구체적인 지침이 정부 내에서 정해졌고, 관련 부서 인원들은 갑작스럽게 연락을 받고 부랴부랴 출근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2시30분께 출입기자들에게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돌려 오후 4시 긴급 브리핑 계획을 통보했다.

한편 이날 통일부가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관련한 메시지를 내면서 북핵 관련 입장을 함께 낸 점도 눈길을 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이 (영변) 원자로를 가동하는 것으로 미국에서 확인한 상황에서 우리의 원칙적 입장을 강조했다고 보면 된다”며 “이런 경우는 별로 없었지만 (이산가족 관련) 정부 입장을 발표하는 김에 (북핵 관련 입장도) 같이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