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신동혁 “북한인권운동 중단할 수도 있다”

탈북자 신동혁 “북한인권운동 중단할 수도 있다”

입력 2015-01-18 15:43
수정 2015-01-18 15: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탈북자 신동혁 씨는 18일 북한 정치범수용소에 관한 증언을 담은 자서전 내용에 오류가 있다고 시인하고 북한 인권운동을 중단할 수도 있다는 뜻을 밝혔다.

신 씨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현 시점에서 나는 정치범수용소를 철폐하고 (북한의) 억압받는 주민들에게 정의를 가져다주기 위한 노력과 사업을 계속할 수도, 계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북한 정권을 반대하는 나의 모든 투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신 씨는 그러나 “나 없이도 여러분 모두는 여전히 싸울 수 있다”며 “세계는 (북한에서 일어나는) 참혹하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공포를 알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7일(현지시간) 신 씨의 자서전 ‘14호 수용소 탈출’의 집필자인 블레인 하든의 말을 인용해 신 씨가 자서전의 일부 내용에 오류가 있음을 인정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정치범수용소를 탈출한 유일한 탈북자인 것으로 알려진 신 씨는 북한 정치범수용소에 관한 대표적인 증인으로, 유엔과 미국 의회를 비롯한 국제 무대에서 북한의 인권 탄압 실상을 증언해왔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