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발 역대 주요 사이버테러 일지

북한발 역대 주요 사이버테러 일지

입력 2016-06-13 14:11
수정 2016-06-13 14: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이 국내 대기업 전산망의 취약점을 뚫고 들어가 10만대가 넘는 PC의 통제권을 탈취, 사상 최대 규모의 사이버 공격을 준비했던 사실이 13일 경찰 수사로 드러났다.
다음은 북한발 주요 사이버테러 사건 일지.

▲ 2009.7.7 =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으로 청와대, 백악관 등 35개 주요 정부 기관·금융사·포털사이트 홈페이지 마비.
▲ 2011.3.4 = 좀비 PC 10만여대를 동원, 국회·행정안전부·통일부 등 20개 정부 기관 홈페이지와 은행·증권사·포털사이트 등 20개 민간 홈페이지 공격.
▲ 2011.4.2 = 농협 협력업체 직원 노트북 PC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농협 전산센터에서 운영 중이던 서버 273대 자료를 파괴해 업무 마비.
▲ 2012.6.9 = ‘IsOne’이라는 별칭을 쓴 공격자가 중앙일보 홈페이지를 변조하고 신문제작시스템 파괴.
▲ 2013.3.20 = KBS·MBC·YTN·농협·신한은행 등 주요 방송·금융기관 전산망에 동시다발로 악성코드가 유포돼, 서버·PC·ATM 등 총 48,748대가 피해.
▲ 2013.6.25 = 청와대, 국무조정실 등 홈페이지와 정당, 중소 언론사 등의 전산시스템에 동시다발로 사이버공격 감행.
▲ 2014.8 = 국내 IT 보안업체 제품의 취약성을 이용, 대학병원 전산망에 침입해 서버를 장악하고 사이버테러 준비.
▲ 2014.12.15 = 확인되지 않은 방법으로 한국수력원자력 조직도와 설계도면 등 6차례에 걸쳐 85건을 유출, 블로그 등에 올리고 돈 요구.
▲ 2015.11 = 금융보안업체를 해킹, 인증서를 유출해 악성코드를 제작한 뒤 10개 기관 PC 19대에 악성코드 유포.
▲ 2016.1.13∼14 = 청와대 국가안보실 등 정부 기관과 포털을 사칭해 총759명에게 이메일 발송.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