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희경
홍희경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홍희경 기자입니다.
최신 뉴스
  • 진격의 SK하이닉스

    진격의 SK하이닉스

    2003년 3월 26일 하이닉스반도체 주가는 135원이었다. 적자와 계열분리, 인수합병 후유증으로 실적이 악화된 가운데 채권단의 재무구조 개선 요구에 따라 21대1의 감자가 불가피했다. ‘동전주’라는 굴욕적인 별명이 붙었다. 그런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어제 종가 기준으로 약 406조원. 2012년 3조 426
  • 마음돌봄 사업

    마음돌봄 사업

    오늘부터 다음달 4일까지 ‘공무원 건강주간 행사’가 열린다. 정신건강 관리 필요성이 커지면서 마음치유 공연, 불안 검사, 미술심리 치유 등 마음돌봄 프로그램이 대거 포함됐다.정신건강 위기 신호가 켜진 공공 분야 직역이 적지 않다. 지난해 소방청 마음건강 설문조사 결과 우울증을 호소한 공무원은 3937명으로 5년
  • 월세와 물가

    월세와 물가

    10·15 부동산 대책 논란이 커지자 여야가 그제 각각 당내 대책 기구를 발족시켰다. 규제지역 확대, 토지거래허가제, 대출 요건 강화 등 주택 수요를 삼중 규제한 이번 대책의 파장을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중이다.논란 가운데서도 대체로 일치하는 전망은 전세가 줄고 월세 물량이 늘 것이란 사실이다. 3+3+3,
  • 밤송이

    밤송이

    가을 뒷산, 발끝에 온갖 열매들이 굴러다닌다. 코를 찌르는 은행 냄새를 지나면 도토리가 지천이고 이름 모를 열매들이 낙엽 사이로 숨바꼭질한다. 이 수많은 열매 중 밤송이만큼 애증의 존재가 없다.반쯤 벌어진 입으로 통통한 알밤을 살짝 내보이는 밤송이라면 슬쩍 보고 그냥 지나칠 자신이 있다. 이미 제 할 일을 다한
  • 영화 같은 ‘루브르 절도’

    영화 같은 ‘루브르 절도’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가 114년 전 ‘모나리자’ 도난 이후 최대 규모의 절도를 당했다. 일요일 개장 30여분 뒤 사다리차를 타고 침입한 4인조에게 ‘나폴레옹 3세 황후의 다이아몬드 왕관’을 비롯한 보석 8점을 털렸다. 세계 최고 수준의 철통 보안이 뚫려 영화 속에서나 보던 장면이 실제 상황이 된 것이다.‘박물관
  • 김치 프리미엄

    김치 프리미엄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의 불확실성과 달러 약세, 각국 중앙은행의 금 보유 확대 기조로 글로벌 금값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이라고, ‘김치 프리미엄’까지 더해진 한국 금값은 말 그대로 고공행진 중이다. 어제 국제 금 현물가격은 온스당 4163.97달러로 연초 대비 54%
  • ‘거대한 체스판’의 승부, 귀퉁이의 착각

    ‘거대한 체스판’의 승부, 귀퉁이의 착각

    트럼프 2기 미국이 벌이는 관세전쟁의 주적은 누구일까. 중국을 떠올릴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늘 그렇게 말해 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관세협상 초반 드러난 적은 하나가 아니었다. 트럼프는 내부 정치 상황을 이유로 브라질에 50% 관세를, 우크라이나와의 휴전을 종용하며 러시아에 100% 관세를, 러시아
  • 과거·미래가 뒤섞인 시대… 현실이 된 ‘백 투 더 퓨처’

    과거·미래가 뒤섞인 시대… 현실이 된 ‘백 투 더 퓨처’

    # 더딘 정책·빠른 혁신AI 기술 진화의 시간차#챗GPT 출시 3년 만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은 또 다른 패러다임 전환 앞에 서 있다. 8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월드 서밋 AI 2025’는 글로벌 AI 시장이 2033년까지 연평균 31.5%씩 성장해 3조 50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 참고사항일 뿐입니다

    참고사항일 뿐입니다

    “너 살쪘다.” 추석 식탁에서 오랜만에 본 친척이 던진 한마디가 몇 달간 이어진 부모님의 걱정보다 더 깊이 마음에 박혔다. 명절 전 Z세대 구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살이 좀 쪘다’가 16%로 최악의 잔소리 2위를 차지했다니 혼자만 긁힌 건 아닌 것 같다.직장에서도 마찬가지다. 내부 팀원이 몇 달간 제안한
  • 교사의 정치 참여

    교사의 정치 참여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교사의 정치적 참여를 보장하겠다고 공언했다.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의회에서 “페이스북에 ‘좋아요’도 못 누르고, 정치 후원금을 내면 범법자가 되는 현실은 너무 낙후되고 후진적”이라고 했다. 민주당에서 발의된 ‘교원 정치 참여 기본권 보장 7법’을 신속 처리하겠다는 것이다. 전교조의 30여년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