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서동철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서동철 기자입니다.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고시 공부하듯 안 하면 장단 못쳐… 나를 뛰어넘는 ‘북재비’ 나왔으면”

    “고시 공부하듯 안 하면 장단 못쳐… 나를 뛰어넘는 ‘북재비’ 나왔으면”

    ‘판소리 고법 전수관’1000평 부지 기증… 9월쯤 착공논산·충남·국가유산청 예산 분담‘일고수 이명창’“판소리 서른다섯 유파 통달해야”소리꾼들 기량 발휘 최대한 배려‘천재 소년 설장고’13~14세 때 벌써 농악단 만들어“내 것 훔쳐 가라” 다그친 스승들“배워갈수록 어렵다”요즘엔 봉급 받는 자리만 잡으면 공부를 멈
  • 박물관 끼워팔기

    박물관 끼워팔기

    시원하게 닦인 도로를 따라 시골 분위기를 즐긴다. 통행량이 많지 않으니 운전할 맛이 난다. 내비게이션이 시키는 대로 찾아 들어가니 제법 큰 건물들이 나타난다. 목적지는 역사박물관. 그런데 그 옆엔 자연사박물관도 보인다. 상쾌한 기분으로 역사박물관 앞에 이르렀다. 매표소 직원은 두 박물관을 모두 관람하는 데 300
  • 강화 비림을 거니는 재미

    강화 비림을 거니는 재미

    강화전쟁박물관을 강화역사관에서 이름을 바꾼 이후 오랜만에 다시 찾았다. 정문으로 들어서니 왼쪽 언덕에 낯익은 박물관 건물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며 취향도 바뀌었는지 오른쪽에 위치한 비석군(群)이 설치미술인 양 조형미를 자랑하며 강렬하게 눈길을 잡아끄는 것이었다.역사가 깊은 고장은 어디든 비석거리가
  • 쓰레기 고고학

    쓰레기 고고학

    1965년 서울대 고고인류학과 김원룡 교수는 학생들을 이끌고 경기 부천의 신앙촌 쓰레기장을 발굴 조사했다. 발굴단은 4학년 학생이 주축을 이루었지만 관심을 보인 일부 저학년 학생도 참여했다. 신앙촌은 신흥종교인 천부교의 교주 박태선이 설립한 신앙공동체다.쓰레기장을 발굴해 신앙촌 주민의 생활상을 복원하는 고고학 훈
  • 까치호랑이

    까치호랑이

    지난주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를 보러 간 김에 뮤지엄숍을 찾았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까치호랑이 문화상품이 날개 돋친 듯 팔린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인기절정이라는 ‘까치호랑이 배지’는 당연히 ‘SOLD OUT’(매진)이었다. 예약은 하루 수십만건씩 들어온다고 했다.이 영화에는 갓을 쓴
  • 한국 음식학 정립 102세 윤서석 명예교수 종신성취장

    한국 음식학 정립 102세 윤서석 명예교수 종신성취장

    원로 음식문화학자 윤서석 중앙대 명예교수가 아주식학논단(亞洲食學論壇·Asia Food Study Conference)의 종신성취장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 음식학은 물론 우리나라 가정학을 정립했다고 해도 좋을 윤 명예교수는 1923년생으로 올해 102세다. 아주식학논단은 음식 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먹거리와 관련한
  • 실록의 폭염 기록

    실록의 폭염 기록

    온 국민을 고통스럽게 하는 폭염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라고 하니 옛날에는 분명 오늘날 같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에어컨도 선풍기도 없던 시절 체감 더위는 크게 다르지 않았을 듯싶다. 고려 충렬왕은 여름이 되면 수도 개경을 떠나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서경, 곧 평양으로 피서를 갔다. 하지만 조선의 임금은 한양에
  • 임진나루

    임진나루

    조선시대만 해도 남북을 잇는 가장 중요한 통로였을 임진나루에 종종 간다. 역사가 오래된 매운탕집이 몇 군데 몰려 있다. 갈 때마다 단원 김홍도를 떠올리게 된다. 무슨 소린가 싶겠지만, 단원의 아들로 같은 길을 걸은 천리 김양기가 이 동네를 그렸기 때문이다.단원은 1791년 연풍현감에 제수된다. 충북 괴산군 연풍면
  • 귀츨라프 선교사와 원산도 역사의 재발견

    귀츨라프 선교사와 원산도 역사의 재발견

    충남 보령 원산도는 2021년 보령해저터널이 개통되면서 사실상 육지가 됐다. 그럼에도 주민들의 삶이 나아진 것처럼 보이지 않는 것은 뜻밖이었다. 원산도는 오히려 퇴락하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배를 타고 도착한 손님으로 북적였을 포구 식당은 한산했고 주인은 의욕을 잃은 모습이었다. 여객선이 오갈 때는 오히려 분주하던
  • ‘위기에 처한 유산’

    ‘위기에 처한 유산’

    엊그제 프랑스 파리에서 폐막한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우리의 울산 반구천 암각화와 남북을 굳이 가릴 이유가 없는 민족의 영산(靈山) 금강산을 새로운 세계유산 목록에 올렸다. 더불어 2026년 제48차 위원회 개최지로 부산을 선정했으니 우리에겐 겹경사가 아닐 수 없었다. 부산 세계유산위는 당연히 한국의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