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2곳 추가 확진…모두 4곳으로

구제역 2곳 추가 확진…모두 4곳으로

입력 2010-01-16 00:00
수정 2010-01-16 1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5일 가축방역 당국에 신고된 소.돼지 전염병인 구제역 의심 젖소 농가 2곳이 모두 감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구제역 발병 가축 농가가 모두 4곳으로 늘면서 확산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경기도 포천의 구제역 감염 의심 젖소 농가 2곳에서 채취한 소의 시료를 정밀검사한 결과 모두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K씨가 운영하는 농가에서 6마리, L씨가 운영하는 농가에서 2마리가 양성으로 판별됐다.

이들 농가는 모두 창수면 추동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한아름목장과 각각 600m(K씨 농가), 950m(L씨 농가) 떨어져 있어 ‘위험지역’(반경 3㎞ 이내)으로 관리되던 곳이었다.

두 농장의 사육 규모는 K씨 농가가 70마리, L씨 농가가 54마리로, 이들은 전날 예방적 차원에서 전량 살처분됐다.

이 둘은 모두 최초 발생지인 한아름목장과 역학적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K씨 농가는 한아름목장에서 차량이 와 송아지를 공급받아 갔는데 이 과정에서 전염됐을 가능성이 있다. L씨 농가는 한아름목장을 방문한 사료차량이 다녀간 일이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추가 발생 농장 2곳 모두 최초 발생 농장과 역학적 관련성이 있는 데다 위험지역 안에 있어 방역대(帶)를 추가로 확대하지는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들 두 농가로부터 반경 500m 안에 있는 젖소 농가 1곳에서 기르는 젖소 50마리는 예방적으로 살처분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 농가는 최초 발생 농장에 갔던 임상 수의사가 첫 구제역 의심 신고 전인 2일 전 방문한 적이 있고 사료차량, 집유차량도 오가는 등 역학적 관련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로써 구제역 발병 농가는 모두 4곳으로 늘었다.

또 이번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가축은 한우 113마리, 젖소 1천760마리, 돼지 1천335마리, 염소 46마리, 사슴 17마리 등 모두 3천271마리다.

다만 아직까지는 포천에서만 발생하고 있고 방역 당국이 쳐놓은 방역선(線)을 넘지 않아 전국적인 확산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방역 당국은 발병 농가로부터 반경 3㎞까지를 위험지역, 10㎞까지를 경계지역으로 지정해 사람과 차량, 가축의 이동을 통제하고 있으며 20㎞ 범위까지는 관리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감염 농가가 점점 늘면서 방역 당국의 긴장은 높아지고 있다. 축산 농가의 불안감이 고조되기도 마찬가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구제역 감염 농가가 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설정된 방역선을 뚫고 나간 것은 아니어서 심각하다고 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며 “예찰과 방역, 소독을 더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