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여중생 납치살해범 김기태의 목소리 여러 곳에서 거짓말 흔적이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김길태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길태 연합뉴스
충북도립대학 생체신호분석연구실 조동욱(52.정보통신과학과) 교수는 김길태가 경찰에 압송될 때와 현장검증 당시의 목소리를 분석해보니 음성 피치(1초당 성대진동.㎐)와 강도(에너지 크기.㏈)의 움직임이 불안정해 진실을 감추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조 교수는 “압송되던 김길태가 ‘살해혐의를 인정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라면 끊여먹은것 밖에 없다’고 답할 때 피치값은 175.266㎐로 급상승했지만 강도는 66.7583㏈로 가장 낮게 떨어졌다”며 “성대진동과 에너지 파형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거짓말을 하는 증거”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장검증에서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범행을 부인할 때도 피치값은 189.439㎐로 상승한 반면 강도는 63.2102㏈로 급격히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검거 직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한 네마디와 현장검증에서 채집한 세마디를 음성분석기(프라트)에 넣어 분석해보니 예민한 질문에 답할 때는 피치값과 강도가 일관성 없이 움직여 진실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목소리나 안색 등 생체신호를 이용해 감정·성격·질병 등을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지난해 연쇄살인범 강호순의 현장검증 당시 목소리를 분석해 눈길을 끌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