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봄 이상저온 현상에 이어 한여름 폭염으로 여름철 대표상품들에 대한 구매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전형적인 ‘6월 상품’이 늦더위 탓에 7월에 잘 팔리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주렁주렁 아이스바 9일 경기 남양주시 도농동의 한 빙과업체 공장에서 아이스바가 제조기에 주렁주렁 매달려 옮겨지고 있다. 최근 폭염 덕분에 아이스크림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렁주렁 아이스바 9일 경기 남양주시 도농동의 한 빙과업체 공장에서 아이스바가 제조기에 주렁주렁 매달려 옮겨지고 있다. 최근 폭염 덕분에 아이스크림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신세계 이마트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수박 매출은 170억원으로, 최근 10년 중 월간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0% 늘었다. 밤에도 더위가 이어지자 저녁 8시 이후 수박 매출의 비중이 37%로 높아졌다.
이마트 관계자는 “7월 들어 좋은 품질의 수박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마트에 온 고객들이 ‘온 김에 수박도 하나 사갈까.’ 하는 심리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냉방기기도 붙티나게 팔렸다. 7월 이마트의 에어컨 매출은 200억원 정도로, 전년 동기(95억원) 대비 111%나 증가했다. 선풍기 또한 지난달 75억원어치가 팔려 2009년 7월(40억원)보다 88% 늘었다.
특이한 점은 수박과 냉방기기 모두 7월 매출이 통상적인 성수기인 6월 매출을 앞질렀다는 점이다. 수박의 경우 보통 6월에 매출이 가장 많지만, 올해는 늦더위 탓에 5~6월 수박 수요가 7월로 옮겨갔다. 이마트의 지난 6월과 5월 수박 매출은 각 150억원과 8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6월 120억원, 5월 110억원, 7월 100억원으로 6월 수박 매출이 가장 많았다.
냉방기기 역시 무더위가 시작되기 전인 6월에 가장 잘 팔리는 공식이 깨졌다. 실제 에어컨의 경우 7월 매출이 6월(16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해의 경우 7월 에어컨 매출은 95억원으로, 6월 매출(170억원)의 55% 수준에 불과했다. 선풍기 역시 7월 매출이 전달 매출(65억원)을 앞질렀다. 2009년에는 6월 매출이 50억원으로 7월 매출(40억원)보다 25% 많았다.
김근만 신세계 이마트 프로모션팀장은 “9월까지 폭염이 지속될 것이라는 예보가 나온 만큼 이런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08-1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