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물폭탄 피해’ 법적 배상 받을 수 있나

추석 ‘물폭탄 피해’ 법적 배상 받을 수 있나

입력 2010-09-24 00:00
수정 2010-09-24 08: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추석연휴 첫날인 21일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 쏟아진 기록적인 폭우로 재산손실 등 막대한 피해를 본 주민이 법적으로 배상받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소송 제기는 가능하다. 폭우나 폭설 등으로 피해를 본 주민은 도로나 하수시설 등 공공시설에 대한 관리 책임이 있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법원은 시설물의 설치ㆍ관리상 하자가 어느 정도 인정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시설물의 설치ㆍ관리 주체에 손해를 배상하라고 판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국가나 지자체가 폭우 등으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준비를 소홀히 하거나 적절한 조처를 하지 않았다면 법적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홍수 피해로 다수의 원고가 공동소송을 낸 첫 사례로 손꼽히는 ‘망원동 수재’ 사건의 경우 3천700여명이 서울시를 상대로 소송을 내 53억여원을 배상받았다.

당시 재판부는 “유수지의 수문상자가 수압을 견디지 못해 붕괴했다면 홍수에 대비한 방수용으로서 충분한 견고성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며 “수해는 서울시가 설치·관리하는 공공물의 흠 때문에 발생했으므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시했다.

1998년 집중호우로 우이천이 범람해 피해를 본 석관동 주민 189명이 서울시와 성북구청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도 배수관을 잘못 설치한 책임이 인정돼 주민에게 위자료를 200만원씩 지급하라는 판결이 났다.

비로 축대나 도로 인근 시설이 무너져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관리자의 책임만 인정된다면 배상을 받을 수 있다.

서울중앙지법은 2003년 국도에서 차를 몰다 집중호우로 무너져 내린 돌무더기 때문에 숨진 현모씨의 유족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안전시설을 갖추고 위험이 커지면 차량 통행을 막는 등 조치를 해야 함에도 낙석방지용 그물만 설치한 채 관리의무를 소홀히 한 잘못이 인정된다”고 판결했다.

하지만 이번 폭우가 9월에 내린 비로는 102년 만에 최고 강수량을 기록하는 등 천재지변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관리자의 책임을 입증하는 일은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국가배상법 제5조는 도로, 하천, 기타 영조물의 설치ㆍ관리에 하자나 공무원의 명백한 과실이 있을 때만 배상을 인정하고 있고 규정과 판례 역시 엄격하다.

2002년 12월 신림동 폭우 피해자 30여명이 서울시와 구청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서울중앙지법은 “예측 강우량을 훨씬 넘는 수량이 단시간 복개시설을 통과해 발생한 불가항력적 재해”라며 원고 패소로 판결한 바 있다.

같은 해 8월 소용량 배수시설로 인한 호우피해자가 서울시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도 “예년 수준을 웃도는 집중호우에 대비한 수해방지시설을 갖추지 못했어도 시설상 하자는 아니다”며 “손배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판결했다.

서울고법의 한 판사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설치ㆍ관리상의 하자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다면 원칙적으로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며 “다만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였다면 손해를 부정하는 사례도 있어 이번 폭우 피해에 대한 법원 판단을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 착공식 참석

서울시의회 임춘대 기획경제위원장(송파3, 국민의힘)은 13일 송파구 숯내공원에서 개최된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1구간)’ 착공식에 참석했다.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은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아파트에서 잠실동 삼성교까지 총 4.9km 구간의 탄천 제방도로와 하단도로의 통합 정비 및 구조개선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동남권 일대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교통량 증가로 인한 상습 정체를 해소하고, 동부간선 우회도로 기능 확보를 통한 지역 간 이동성과 접근성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사업은 총 2개 구간으로 나눠 진행되고 있으며, 1구간은 올림픽훼밀리아파트에서 광평교사거리까지 0.6km(왕복 6차로), 2구간은 광평교사거리에서 삼성교 북단까지 4.3km(왕복 4~6차로)다. 이번 착공식은 1구간 공사에 대한 것으로 2005년 사업계획이 수립된 이후 20년 만에 실시된 것이다. 임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수많은 행정절차와 난관을 넘어 계획된지 무려 20년 만에 첫 삽을 뜨게 되어 감회가 크다”라며 “단순한 도로 정비가 아니라 서울 동남권 교통체계를 새롭게 설계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조개선을 통해 동남권 교통
thumbnail -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 착공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