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미소로 서울의 매력 알릴래요”

“친절미소로 서울의 매력 알릴래요”

입력 2010-10-01 00:00
수정 2010-10-01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홍보대사 34명 위촉

서울시는 30일 첼리스트 정명화씨 등 34명을 민선5기 ‘서울시 홍보대사’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새롭게 선정된 홍보대사는 정명화씨를 비롯해 탤런트 한지민, 양금석, 김수로, 유지태, 이정진, 아나운서 김병찬, 정은아, 광고인 이제석, 가수 김현철, 크로스오버 테너 임태경, 노멀앙상블관현악단 단장 기청씨 등 12명이다.

이미지 확대
오세훈 서울시장과 민선 5기 ‘서울시 홍보대사’들이 3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위촉식에서 G20 친절 미소 운동 캠페인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사이버 외교사절 박기태, 배우 유지태, 광고인 이제석, 가수 김현철, 팝페라 가수 임태경, 작곡가 양방언씨, 오세훈 시장, 배우 박상원, 가수 김종서, 산악인 박영석, 아나운서 김병찬, 배우 김수로, 아나운서 박정숙, 서울교대 음악과 교수 기청, 첼리스트 정명화, 배우 최불암, 배우 한지민, 가수 바다, 방송인 박경림, 만화가 강주배씨.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과 민선 5기 ‘서울시 홍보대사’들이 3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위촉식에서 G20 친절 미소 운동 캠페인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사이버 외교사절 박기태, 배우 유지태, 광고인 이제석, 가수 김현철, 팝페라 가수 임태경, 작곡가 양방언씨, 오세훈 시장, 배우 박상원, 가수 김종서, 산악인 박영석, 아나운서 김병찬, 배우 김수로, 아나운서 박정숙, 서울교대 음악과 교수 기청, 첼리스트 정명화, 배우 최불암, 배우 한지민, 가수 바다, 방송인 박경림, 만화가 강주배씨.
연합뉴스
최불암씨와 청소년축구 국가대표 감독 홍명보씨, 방송인 박경림씨, 패션디자이너 이상봉씨, 프로골퍼 최경주씨 등 민선4기 홍보대사 가운데 22명은 재선정됐다. 이들 홍보대사는 시 홍보동영상 제작과 ‘G20 친절미소 운동’ 등 캠페인에 참여해 시의 비전과 주요 시정을 알리게 된다.

오세훈 시장은 홍보대사 20여명에게 위촉장을 주고 홍보대사들은 애장품을 기부했다. 정명화씨가 50여년 전부터 줄리아드 음대 시절 사용해온 소나타 악보를 기부했고, 한지민씨는 필리핀의 오지마을 알라원을 찾아가 아이들과 함께 공부하고 뛰어논 4박5일의 기록 ‘우리 벌써 친구가 됐어요.’ 책자 등을 기부했다. 시는 이들 기증품을 인터넷 경매를 통해 판매, 수익금을 저소득층 지원사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서울시의회가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환경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서울시 에너지 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실행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이하 특위) 구성을 추진한다.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이 12일 ‘서울시의회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위 구성 결의안은 급성장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에너지 산업을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종합 전략 마련을 위해 발의됐으며 27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현재 서울시는 에너지의 90% 이상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기차·데이터센터·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도심 밀집 구조 속에서 전력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32년 만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을 분리해 ‘기후에너지부’ 또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신설을 추진하는 중앙정부 개편에 발맞춰,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에너지 정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김 의원은 “AI산업 확대와 데이터센터 증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공급
thumbnail -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2010-10-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