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기호학파 ‘거유’(巨儒)였던 화재(華齋) 이우섭(李雨燮·1931~2007) 선생의 유고 문집 봉정 고유제 및 발간 기념식이 10일 경남 김해시 장유면 월봉서원에서 열렸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행사는 전국의 유림과 성균관, 문생, 친척,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재선생문집간행위원회 주최로 열려 이 선생이 평생 선비 정신을 잃지 않고 쓴 ‘화재속집’(華齋續集·전 17권)을 제사상에 봉정했다.
이 선생은 생전인 2000년 5월 초고로 화재문집(華齋文集·전 27권)을 냈다. 이번에 낸 유고집을 포함하면 총 44권이 간행됐다. 근대 문집으로는 유례가 드문 기록을 남긴 셈이다. 문집은 김해와 남도 향토에 대한 애정, 퇴폐해 가는 인륜 기강 확립에 대한 제언, 당대 귀감이 되는 인물 탐색, 불굴의 선비정신으로 삶을 헤쳐나가는 유학자로서의 기풍을 지킨 일대기 등을 담고 있다.
성백효 한국고전번역원 교수는 발간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마지막으로 유학의 전통을 지키신 한학자 이 선생은 가셨지만 그 정신과 사상은 이 유집에 고이 간직돼 있음이 너무나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율곡 이이, 우암 송시열, 간재 전우, 석농 오진영으로 이어지는 영남 기호학맥의 후예인 화재 선생은 평생 고향에서 월봉서원을 지키며 한학을 가르쳤다.
유족과 월봉서원, 유림 등은 화재 선생의 이런 업적과 정신을 기려 화재 선생의 장례를 학문과 덕망이 높은 유학자가 타계했을 때 행하는 유림장 형태의 유월장(踰月葬·장례기간 16일)으로 거행하고 3년상을 치러 2009년 탈상했다.
김해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1-04-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