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을왕리서 여아 첫 사망
국내 처음으로 해파리에 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30여명이 해파리에 쏘이는 등 해수욕장에 ‘해파리 주의보’가 내려졌다. 사망 사고가 발생한 해수욕장에서는 피서객이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노무라입깃해파리
변양의 어머니는 딸이 물놀이 도중 갑자기 ‘악’ 하고 소리를 지르면서 넘어지자 달려가 해파리에 쏘인 것을 확인한 뒤 119수상구조대에 응급 처치를 요청했다. 수상구조대는 변양을 낮 12시쯤 인하대병원 공항의료센터로 이송한 뒤 다시 본원으로 옮겨 치료를 계속했으나 변양은 오후 4시쯤 숨졌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해수욕장에서 해파리에 쏘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대부분 응급 처치로 별 탈 없이 마무리됐다.”며 “변양은 쏘인 부위가 워낙 넓어 병원으로 즉각 이송했다.”고 말했다.
●수온 상승에 해파리 서식환경 좋아져
제주에서는 피서객 30명이 해파리에 쏘이기도 했다. 12일 서귀포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쯤 서귀포시 중문색달해수욕장에서 물놀이를 하던 한모(12)군 등 피서객 30여명이 5분 동안 잇달아 해파리에 쏘였다. 해경은 이 가운데 일부를 서귀포의료원으로 후송, 치료하고 증상이 가벼운 환자는 귀가시켰다.
이런 연쇄사고 때문에 해수욕장을 찾는 피서객도 줄어들었다. 10일 1만 5000명, 11일 2만명이 몰렸던 을왕리해수욕장에는 사망 사고가 알려진 12일 피서객이 1500명에 불과했다.
인천과 제주에서 연이어 피서객을 쏜 해파리는 ‘노무라입깃해파리’로 추정된다. 국내 해안에 나타나는 31종의 해파리 가운데 맹독성 또는 강독성 해파리는 7종가량으로 분류된다. 이 중 노무라입깃해파리는 중국 양쯔(揚子)강과 보하이(渤海)만 사이에서 3∼4월에 생겨나 해류를 타고 7월 하순 국내 해안으로 들어온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윤원득 박사는 “노무라입깃해파리가 여아를 죽음에 이르게 했을 가능성이 99%”라며 “중국에서도 어민 8명이 이 해파리에 쏘여 사망했을 정도로 위협적인 종”이라고 설명했다.해파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 상승 등으로 서식 환경이 좋아지면서 2003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을왕리해수욕장에는 지난 5일 이후 해파리 떼가 자주 출몰했으며 최근 전남과 전북 지역 해수욕장에서 해파리 습격 사례가 발생할 때마다 경계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문지르지 말고 바닷물로 씻어야
전문가들은 해파리에 쏘이면 당황하지 말고 물에서 나와 구급대가 올 때까지 상처 부위를 손으로 문지르지 말고 바닷물로 씻어내야 한다고 당부한다.
김학준·황경근기자 kimhj@seoul.co.kr
2012-08-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