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녹조, 주의보 기준 밑으로 감소

한강 녹조, 주의보 기준 밑으로 감소

입력 2012-08-14 00:00
수정 2012-08-14 15: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충주댐 방류량 확대와 비의 영향으로 한강 본류의 조류 개체수가 주의보 발령기준 이하로 줄어드는 등 녹조가 다소 완화되는 추세다.

14일 환경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13일 잠실수중보 상·하류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 2곳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클로로필-a와 남조류 세포수가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됐다.

강북·암사·구의·자양·풍납취수장 등 상류 5개 지점의 클로로필 농도는 지난주 14.3~34.2㎎/㎥에서 7.87~16.6㎎/㎥로, 남조류 세포수는 ㎖당 1천180~4천470개에서 400~1천520개로 감소했다.

풍납취수장만 클로로필 농도가 16.6㎎/㎥, 남조류 세포수가 610개로 나타나 아직 주의보 발령 기준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돗물에 악취를 내는 물질인 지오스민의 농도는 37∼174ppt로 전날 62∼133ppt와 비슷했다.

성수·한남·한강·마포·성산대교 등 하류 5개 지점의 클로로필 농도는 지난주 40.2~72.2㎎/㎥에서 11.7~21.7㎎/㎥로, 남조류 세포수는 975~2천730개에서 226~583개로 감소했다.

하류에서는 한남대교만 클로로필 농도가 19.9㎎/㎥, 남조류 세포수가 583개로 검출돼 기준치를 초과했다.

조류주의보는 클로로필 농도가 15㎎/㎥ 미만이거나 남조류 세포수가 ㎖당 500개 미만으로 나타나면 해제된다.

시는 15일 채수한 시료를 분석해 조류주의보의 해제나 추가 발령 여부를 결정한다.

시 관계자는 “중부지방에 최고 200mm의 강우가 예상돼 녹조 현상 감소는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팔당호의 녹조는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낙동강은 일부 지점에서 감소하는 추세지만 아직도 많은 조류 세포가 검출되고 있다.

팔당댐 지점의 남조류 개체수는 12일 ㎖당 5천753개에서 13일 6천558개로 늘었다. 클로로필-a 농도도 34.1㎎/㎥에서 43.3㎎/㎥로 증가 추세다.

지오스민 농도는 292ppt로 전날과 비슷했다.

낙동강 합천창녕보의 남조류 세포수는 ㎖당 30만6천720개에서 4만8천939개로, 상류의 낙단보는 1만3천504개에서 2천528개로 크게 줄었다.

반면 중류의 칠곡보에서는 남조류 개체수가 하루만에 ㎖당 200개에서 5천292개로 증가하는 등 녹조가 여전히 잡히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이민석 서울시의원, 공덕초 학생들과 ‘EBS 해통소통 탐험대’ 출연

서울시의회 이민석 의원(국민의힘, 마포1)은 공덕초등학교에서 촬영한 EBS 찾아가는 서울시의회 퀴즈쇼 ‘해통소통 탐험대’에 출연해, 학생들과 함께 의회의 역할을 탐구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해통소통 탐험대’는 서울시의회와 EBS가 공동 기획한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 프로그램으로, 각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이 직접 출연해 의정 활동을 퀴즈 형식으로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는 참여형 교육 콘텐츠다. 특별탐험대원으로 나선 이민석 의원은 퀴즈를 통해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의 역할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설명하며 적극적인 소통에 나섰다. 특히, 이 의원이 2024년 발의한 ‘서울시 도시·건축디자인혁신 사업 운영에 관한 조례안’의 제정 취지를 묻는 퀴즈에서는 학생들이 앞다퉈 정답을 외치는 등 현장의 활기가 더해졌다. 이 의원은 해당 조례의 내용을 레고 설명서에 비유하며, 건축 규제 완화와 창의적 도시디자인의 필요성을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냈다. 이민 의원은 “학교 현장에서 지역 학생들과 얼굴을 마주하고 소통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라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의정 활동과 조례가 일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자연스럽게 느끼고, 학생들이 서울시의회
thumbnail - 이민석 서울시의원, 공덕초 학생들과 ‘EBS 해통소통 탐험대’ 출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