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전공학부 도입 4년…통섭·융합 취지 ‘퇴색’

자유전공학부 도입 4년…통섭·융합 취지 ‘퇴색’

입력 2013-02-21 00:00
수정 2013-02-21 09: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기학과 쏠림에 고시준비반 전락…”다양한 프로그램 절실”

서울시내 주요대학들이 지난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신설과 함께 앞다퉈 만든 ‘자유전공학부’가 도입 4년을 맞아 이달 말 첫 졸업생을 배출하지만 그 취지가 퇴색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도입 당시 다양한 학문을 접할 수 있다는 ‘통섭·융합 인재 육성’의 취지는 빛이 바랜 채 인기학과로 진입하는 하나의 관문으로 전락한데다 일부 대학은 해당 학부의 이름만 바꿔 로스쿨 등 각종 고시 준비반 성격으로 변질했다.

자유전공학부는 로스쿨 도입 시 법학과를 폐지하라는 교육과학기술부 방침에 따라 기존 법학대학에 할당된 정원을 흡수하기 위해 신설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유전공학부 신입생은 보통 1년 동안 다양한 학문을 접하고 2학년에 올라가면서 다른 전공을 택할 수 있다. 타전공 진입 제도가 없는 대학의 자유전공학부는 자체 마련한 다양한 커리큘럼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21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 자유전공학부는 2009년 이후 4년간 입학생 922명 중 경제학부를 선택한 학생이 201명, 경영학과가 159명, 정치외교학부와 생명과학부가 각각 61명이다.

연세대 자유전공학부도 학생들이 2학년에 올라가면서 전공을 선택하도록 하지만 경영·경제학과 쏠림현상이 계속되자 지난해 신입생부터는 정원의 3분의 1만 같은 전공으로 진학할 수 있도록 규정을 변경했다.

작년 자유전공학부 신입생 전공 배정 현황을 보면 92명 중 경영·경제학과에 정원인 30명씩 모두 진학했고, 응용통계학과를 선택한 학생도 10명 안팎이었다.

고려대는 자유전공학부 소속 학생이 사범대를 제외한 인문사회계열 학과를 선택할 수 있게 해 상당수 학생이 경영·경제·통계학과 등 상경계열 인기학과를 선택하는 ‘쏠림현상’이 나타났다.

작년에는 103명의 학생 중 경영학과와 경제학과를 선택해 전공을 배정받은 학생이 각 33명, 통계학과가 15명으로, 전체의 78.6%이 상경계 인기학과를 택했다.

로스쿨 도입 전인 2007년부터 자유전공 개념의 스크랜튼학부를 만든 이화여대의 경우 올해 복수전공을 정하며 경영대, 사회과학대, 자연과학대를 선택한 학생 비율이 각각 31.6%였다. 반면 인문과학대를 선택한 학생은 전체의 5.4%에 그쳤다.

이름만 바꿔 사실상 고시반 기능을 하는 학교도 적지 않다.

성균관대는 2011년 학생과 학부모 의견을 반영해 자율전공학부를 없애고 작년 글로벌리더학부를 신설했다. 수업은 로스쿨 진학 대비 ‘법무 트랙’과 외무고시 등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정책학 트랙’으로 나눈 커리큘럼으로 진행된다.

중앙대도 2009년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했다가 학생들이 ‘학과 정체성이 없다’는 불만을 제기하자 1년 만에 로스쿨 진학을 준비하는 ‘정책학사’와 행정고시 준비에 초점을 맞춘 ‘행정학사’로 전공을 선택하도록 한 공공인재학부로 전환했다.

정경훈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대학교육위원장은 “자유전공학부의 취지는 좋지만 현실적으로 교수조차 융합에 익숙하지 않은데다 대학도 준비를 충분히 하지 않아 부작용이 생기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대학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융합 마인드를 가진 교수진에 관리를 맡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