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들 마르지 않는 눈물
천안함 사건이 터진 지 26일로 꼭 3년. 금쪽 같은 자식, 남편, 형제를 잃은 유가족들의 눈물이 마르기엔 짧기만 한 세월이다. 유족들은 24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무너지는 속마음을 털어놨다.고(故) 심영빈 중사의 아버지 심대일(64)씨의 휴대전화에는 여전히 3년 전 아들 번호가 저장돼 있다. 그리움에 사무칠 때는 번호를 꾹꾹 눌러보지만, 그럴 때마다 모르는 사람이 전화를 받는다. 잘못된 번호지만 지울 수 없다. 아비가 아들을 지우는 듯해서다. 심씨는 “다른 사람이 받을 때마다 ‘이게 현실이구나’ 싶어 절망하는데, 너무 보고 싶을 때면 나도 모르게 또 전화를 건다”고 했다.
그는 “자식을 잃은 지 3년이 지났다고 잊을 수 있겠느냐. 30년이 지난다 해도 변할 수도, 잊을 수도 없다”고 했다. 큰아들이었던 심 중사는 스물여섯 살의 짧은 생을 마치고 탑승했던 천안함과 함께 차디찬 바다로 가라앉았다. 심씨는 “국민들은 천안함 전사자들을 점점 잊어가겠지만 가족들의 애끊는 심정은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아들 생각만 하면 가슴이 너무 먹먹해 기억을 조금이라도 지워볼까 싶어 강원도 동해 집에서 이사도 해봤다. 부질없었다. 그럴수록 믿음직했던 장남에 대한 그리움이, 죽은 자식을 잊으려 했던 아버지로서의 미안함이 더 커졌다.
고 박보람 중사의 아버지 박봉석(56)씨는 푸념하듯 “그럭저럭 살고 있다”고 했다. 3월이면 아들이 더 떠올라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다. 다리가 불편한 어머니의 수술비로 쓰라고 월급을 쪼개 적금 통장을 마련할 정도로 지극정성인 아들이었다. 어머니 박명이(51)씨는 1858만원이 든 아들의 적금통장에서 단 한 푼도 빼 쓰지 못했다. 바다에서 끌어올린 아들의 주검을 차마 눈으로 보지 못했던 어머니는 요즘도 매일 방문을 열어둔 채 잠이 든다. 차가운 물속에 있다가 발견된 아들 생각에 한겨울에도 보일러를 틀지 않았다.
장남(고 이용상 하사)을 잃은 이인옥(50)씨도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 게 있나 보다”면서 “지금도 아들 생각에 문득 멍해지곤 한다”고 털어놨다. 이씨는 “엄마 아빠 생일 잘 챙기라고 남동생 둘에게 번갈아 전화해 잔소리하던 살뜰한 녀석이었다”면서 “군복 입은 사람만 봐도 용상이 생각이 나 울컥한다”고 했다. 2008년 해군에 입대해 조리병으로 근무하던 아들은 전역을 꼭 한 달 남기고 변을 당했다. 어느 날 갑자기 ‘아빠’하고 부르며 돌아올 것 같아서 아직 유품을 정리조차 못했다.
승무원을 구조하다 순직한 ‘UDT의 전설’ 고 한주호 준위의 아들 상기(27)씨는 아버지와의 마지막 통화가 생생하다. “돌아가시기 전날 ‘바닷물이 너무 차서 구조작업이 너무 힘들다’고 하셨어요. 웬만하면 힘들다고 안 하시는 분인데…. 들어가지 말라고 말렸거든요.” 진해 안골포초등학교에서 6학년 담임교사로 근무 중인 그는 ‘생활의 길잡이’(도덕교과서)에 나오는 아버지의 영웅담을 가르치며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조은지 기자 zone4@seoul.co.kr
2013-03-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