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서 대리점 물량 조작 의혹 집중 추궁

본사서 대리점 물량 조작 의혹 집중 추궁

입력 2013-05-15 00:00
수정 2013-05-15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檢, 남양유업 ‘욕설파문’ 前 영업사원·대리점주 소환 조사

남양유업의 ‘부당 밀어내기’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검찰이 대리점주에게 폭언을 해 논란을 빚은 남양유업 전 영업사원 이모(35)씨를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또 지난 13일 남양유업 대리점 피해자 협의회에서 추가로 고소한 사건과 관련, 대리점주 공모씨 등 고소인과 남양유업 관계자 등 피고소인을 차례로 불러 조사 중이다.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 곽규택)는 14일 욕설 파문의 당사자 이씨와 대리점주 김모(53)씨를 불러 욕설을 하게 된 경위, 당시 상황, 밀어내기 진위 등을 집중 추궁했다. 남양유업의 횡포가 알려지게 된 ‘욕설 파문’은 이씨가 김씨에게 욕설을 퍼붓는 음성 파일이 지난 4일 유튜브에 공개되면서 시작됐다. 2분 45초 분량의 파일에는 “죽기 싫으면 받으라고요. 끊어 빨리. 받아. 물건 못 받겠다는 그 따위 소리하지 말고”, “(물건을 받을 상황이 안 된다면) 버리든가 그럼. 버려”, “개XX” 등의 통화 내용이 담겨 있다. 남양유업은 하루 만인 5일 공식 사과문을 냈지만 밀어내기 등 불공정 거래에 대한 비난이 폭주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남양유업이 본사 차원에서 대리점 업주들의 주문 물량을 멋대로 부풀려 기재했는지를 파헤치고 있다.

밀어내기 물량을 반품하지 못하도록 업주들에게 마이너스 통장과 연계된 자동이체계좌(CMS)에 가입하게 하거나 사측이 통보한 신용카드를 만들게 해 물품 대금을 강제로 청구했는지 등을 파악하고 있다. 리베이트를 착복했는지도 살펴보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지난 13일 피해자 협의회가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 등 경영진과 지점 4곳의 영업직원 등 25명을 추가로 고소한 사건에 대해서도 수사에 착수했다. 이들은 고소장에서 “이마트나 롯데마트 등이 남양유업에 판매 여직원의 파견을 요청해 그 인건비를 남양유업에 전가하고 남양유업은 이 인건비의 65%를 대리점에 전가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고발인 조사 등 기초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홍 회장과 김웅 대표이사 등 남양유업 경영진의 소환 시기를 조율할 방침이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2013-05-1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