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노점상 할머니 더위 피해 노숙하다 참변

60대 노점상 할머니 더위 피해 노숙하다 참변

입력 2013-06-28 00:00
수정 2013-06-28 09: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폐지 정리하다 길에서 잠든 뒤 화물차에 치여 숨져

27일 자정을 조금 넘은 시각 서울 중구 중림동 사거리 인근 노점 앞에서 노숙을 하던 한 할머니가 화물차에 치어 숨졌다. 할머니가 떠난 노점에는 할머니 곁을 지키던 유기견 두 마리만 남았다. 할머니의 마지막 순간을 옆에서 지켜본 유일한 가족이었지만 여전히 할머니를 기다리는 듯했다.  연합뉴스
27일 자정을 조금 넘은 시각 서울 중구 중림동 사거리 인근 노점 앞에서 노숙을 하던 한 할머니가 화물차에 치어 숨졌다. 할머니가 떠난 노점에는 할머니 곁을 지키던 유기견 두 마리만 남았다. 할머니의 마지막 순간을 옆에서 지켜본 유일한 가족이었지만 여전히 할머니를 기다리는 듯했다.
연합뉴스
할머니가 떠난 노점에는 할머니 곁을 지키던 유기견 두 마리만 남았다.

먹을 것을 내밀어도 통 관심을 보이지 않던 유기견들은 기자가 낯설었는지 10여년간 할머니가 과일을 팔던 노점 안쪽으로 급히 몸을 숨겼다.

할머니의 마지막 순간을 옆에서 지켜본 유일한 가족이었지만 여전히 할머니를 기다리는 듯했다.

28일 서울 남대문경찰서와 인근 주민 등에 따르면 서울시 중구 중림동 사거리에 있는 이 과일 노점의 주인은 60대 후반의 김모씨다.

찻길에 인접한 인도 끝 낡은 파라솔 밑에 자리 잡은 이 과일 노점은 할머니가 지난 10여년간 생활했던 일터이자 쉼터였다.

할머니는 낮에는 여기서 과일과 채소를 팔았고 해가 지면 동네를 돌며 폐지와 고물을 수집했다.

사별한 남편과 출가한 자식들의 빈자리는 길에서 데려온 유기견들이 채워줬다.

주민들의 기억에 할머니 곁에는 항상 유기견 두 마리가 함께했다. 그 중 황구 한 마리는 동네 상인들이 ‘똑똑’하다고 할 정도로 할머니를 잘 따랐다.

행인들이 큰 소리를 내도 짖지 않을 만큼 온순했지만 술 취한 노숙인들이 할머니를 위협하면 동네가 떠나갈 만큼 크게 짖으며 할머니를 지켰다고 한다.

노점에서 동네 상인들과 얘기를 나누며 폐지를 정리하면 금세 해가 졌다.

하나 둘 상인들이 문을 닫고 집으로 돌아가도 집에 가지 않고 노점 바닥에 누워 눈을 붙이고 새벽 다시 폐지를 주우러 나가곤 했다.

걸어서 1분 거리에 세들어 살던 지하방이 있었지만 방에는 지난 수년간 모아두고 정리하지 못한 폐물들이 쌓여 있었고 요즘엔 찌는 듯 더웠기 때문이다.

불행이 닥친 지난 26일 밤도 여느 때와 다르지 않았다. 날이 어두워지자 폐지를 정리하고 노점 옆에 은색 돗자리를 덮은 채 잠이 들었다.

자정이 조금 지난 시각 노점 앞 신문사 지국 앞에서 신문을 실은 1톤짜리 화물차는 잠이 든 할머니를 못 본 채 내달렸고 머리를 치인 김씨는 그 자리에 숨졌다.

한 동네 상인은 “작년에도 교통사고를 당해 한동안 장사를 안 하시다 일주일 전쯤 다시 나오신 건데 가슴이 아프다”고 안타까워했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묵묵히 국민과 시민의 보편체육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생활체육지도자의 헌신을 기억하며,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우개선 정책 실행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현실을 들어보면 정당한 보상조차 이뤄지지 못한 일들이 많다”라고 강조하면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20년을 일해도 신입과 급여가 같아 생계유지가 어렵다”라는 호소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2025년도 4월을 기준으로 도봉구, 마포구, 송파구 3개 자치구는 공무원보수규정을 준용해 생활체육지도자에 대한 호봉제를 시행하는 등 자체적으로 처우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볼 때 서울시도 기계적인 보조금 집행만으로 제 할 일 다했다고 자부할 게 아니라 생활체육지도자의 사기를 저해하는 요인을 점검하고, 이를 혁파해 시민들의 생활체육 환경이 지속해서 개선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재 단일급 체계로 급여를 받는 생활체육지도자들에게는 직업 활동이 어떠한 유인도 자극도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콕 짚어 이야기하면서 “지금과 같은 급여 구조로는 돈은 돈대로 쓰면서 성과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