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과학원 “독도 심해서 신종 박테리아 발견”

수산과학원 “독도 심해서 신종 박테리아 발견”

입력 2014-01-06 00:00
수정 2014-01-06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도 바다에서 신종 박테리아가 발견됐다.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는 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김병찬 박사팀과 함께 독도 깊은 바다에서 신종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수산과학원 제공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는 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김병찬 박사팀과 함께 독도 깊은 바다에서 신종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수산과학원 제공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는 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김병찬 박사팀과 함께 독도 깊은 바다에서 신종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신종 박테리아는 독도(서도) 주변 심해 900m 해역의 퇴적물에서 서식하는 종으로 확인됐다. 독도를 넣어 ‘선시우치니아 독도(Sunxiuqinia dokdonensis sp. nov.)’로 명명됐다.

산소호흡을 주로 하지만 무산소 환경에서도 증식이 가능한 심해성 생리활성 물질과 생육조건을 가져 다른 선시우치니아 속의 2종과는 다르다.

압력이 가해질수록 잘 자라는 심해미생물의 특징을 이용, 퇴적물에서 추출액을 분리했고 산소가 차단되고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기기에서 배양해 이 신종 박테리아만을 분리할 수 있었다고 수산과학원은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전영열 독도수산연구센터장은 “국제적 관심이 높은 독도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미생물을 발견하고 국제학계에 등록했다는 점에서 독도에 관한 학문적 자료를 선점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