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의심 신고 나흘째 ‘잠잠’…AI 수그러드나

충북 의심 신고 나흘째 ‘잠잠’…AI 수그러드나

입력 2014-02-06 00:00
수정 2014-02-06 1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I 바이러스 잠복기 최장 21일, 앞으로 보름이 고비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살처분 작업이 한창이지만 AI 의심 신고는 잠잠하다.

6일 충북도 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일 음성군 대소면의 한 종오리 농가에서 AI가 발생한 이후 나흘째 의심 신고가 접수되지 않았다.

도내에서 AI가 발생한 것은 지난달 27일이다.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의 종오리 사육농가에서 의심 신고가 접수된 이후 2월 1일 같은 군 덕산면 인산리, 이튿날 음성군 대소면 삼정리에서 의심 신고가 추가됐다.

3곳 모두 H5N8 유형의 고병원성 AI로 확진됐다.

잇따르던 의심 신고가 나흘간 뜸하자 AI 사태가 서서히 진정 국면에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AI 확산을 부채질하던 한파도 한풀 꺾였다.

6일 진천과 음성의 아침 최저기온은 각각 영하 6.8도, 6.9도였지만 낮 기온은 영상권으로 진입했다.

청주기상대는 기온이 평년 수준을 회복하며 추위가 점차 누그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수의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AI 바이러스는 사람들이 앓는 독감과 마찬가지로 기온이 낮을 때 왕성하게 활동하다가 날씨가 풀리면 수그러든다.

닭·오리 등 조류도 기온이 높아지면 활동량이 많아져 저항력이 커져 AI 감염률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AI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최장 21일에 달한다는 점에서 아직은 마음을 놓을 때가 아니라는 게 도 방역대책본부의 입장이다.

충북에서는 지난달 27일 진천에서 AI가 처음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열흘밖에 안 됐기 때문이다.

앞으로 보름가량 AI 추가 확진이 없다면 안전지대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는 얘기다.

이시종 충북지사가 시·군 순방 일정을 오는 20일까지 중단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이런 만큼 도 방역대책본부는 거점 소독소 37곳, 가축 운송차량 이동 통제소 20곳을 운영하며 방역에 주력하고 있다.

매몰지를 하루에 두 차례씩 둘러보며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가금류 사육 농가 5천200여 곳에 매일 전화를 걸어 이상 징후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도 방역대책본부의 한 관계자는 “닭이나 오리가 한 두 마리 죽었다는 신고가 접수돼도 이를 간과하고 넘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AI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에 신경쓰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