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만혼·이혼 등 영향…1~2인 가구 매년 증가세
저출산 고령화 현상과 늦은 결혼 및 이혼율 증가 등의 복합적 영향으로 20년 사이 4~5인 가구는 58.2%에서 30.6%로 줄고, 1~2인 가구는 22.8%에서 48.2%로 급증하는 등 우리나라의 가족 구조가 급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6일 보건사회연구원 김유경 연구위원의 연구보고서 ‘가족 변화 양상과 정책 함의’에 따르면 1990년 가구 규모는 1인 가구 9.0%, 2인 가구 13.8%, 3인 가구 19.1%, 4인 가구 29.5%, 5인 이상 가구 28.7%였다. 하지만 20년 뒤인 2010년에는 1인 가구 23.9%, 2인 가구 24.3%, 3인 가구 21.3%, 4인 가구 22.5%, 5인 이상 가구 8.1%로 변화해 1~2인 가구가 4인 이상 가구 수를 역전했다. 2020년까지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1인 가구 수가 핵가족(부부+자녀 가구)을 추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미 1세대 가구는 20년 새 10.7%에서 17.5%로 늘어난 반면,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2세대 가구는 66.3%에서 51.3%로, 부모를 모시고 사는 3세대 이상 가구는 12.5%에서 6.2%로 절반 이상 떨어졌다.
통계청 조사 결과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인식은 1998년 33.6%에서 2012년 20.3%로 감소했고, 부모를 봉양해야 한다는 인식은 1998년 89.9%에서 2012년 33.2%로 급격히 추락했다.
김유경 연구위원은 “소가족화·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로 가족 부양 체계의 불안정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가족과 사회, 정부 간 바람직한 가족 부양 분담 방안을 모색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9-2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