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복지재단 조사…가장 선호하는 정책은 고령자전용 임대주택
서울에 사는 노·장년층은 일자리를 비롯해 전반적인 노후준비 체감도가 100점 만점에 평균 58점이라고 평가했다.서울시복지재단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서울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세대와 만 60세 이상 2천25명을 작년 7∼8월 조사한 내용을 담은 ‘서울시 노인실태 및 욕구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노·장년층은 개인적인 노후 준비를 묻는 항목에서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준비’(65세 미만 47.5점, 65세 이상 42.5점)가 ‘건강 유지를 위한 규칙적 운동 및 건강검진’(65세 미만 72.5점, 65세 이상 67.5점)에 비해 미흡하다고 답했다.
재단은 “건강한 노후를 위해 적극적인 고령자 일자리 정책 홍보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노인을 위한 정책 중 가장 좋아하는 정책으로는 ‘고령자 전용 임대주택’을 꼽았다.
고령자 전용 임대주택(77.3%) 다음으로 선호하는 정책으로는 고령자 취업알선센터(57.1%), 정부지원 일자리 사업(54.4%) 등이 뒤를 이었다.
2년 전과 비교했을 때 분야별 고령친화 체감도는 주택(63.6점→67.5점), 노인존중(64.5점→66.1점), 정보제공(68.2점→69.6점) 등 영역에서 높아졌다.
반면 환경(73.7점→69.4점), 여가(65.8점→62.5점) 영역은 소폭 하락했고, 일자리(53.6점→53.5점) 분야는 거의 변함이 없었다.
하영태 서울시 어르신복지과장은 “어르신 일자리를 지속 확대하고 다양한 여가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해 노년이 행복한 고령친화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