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역 홍수 끝날까…빗물분리·집수관 6월 완공

강남역 홍수 끝날까…빗물분리·집수관 6월 완공

입력 2015-02-21 10:22
수정 2015-02-21 1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년 여름마다 침수 발생 우려가 제기되는 강남역 일대 배수 대책이 수립돼 올해 우기 전까지는 개선 공사를 마칠 전망이다.

서울시는 이달 초 서초구와 협의해 강남역 종합배수개선대책을 마무리하고 대시민 발표를 한 뒤 3월 착공, 6월까지 공사를 마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우선 올해 단기 대책으로 강남역 삼성사옥 앞 거꾸로 경사가 진 관로에 분리벽을 설치해 빗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계획이다.

또 용허리 저류조에는 유입관로를 신설해 기존에 노면에서 처리하던 빗물을 대폭 분담토록 한다.

강남역 구간 곳곳에는 노면에 고인 빗물을 모으는 빗물받이 등 집수시설도 추가로 설치하기로 했다.

서초구는 서울시와의 협의에서 조기 착공과 공기 단축을 요청했으며 내방동 일대 침수를 막기 위한 하수관거 사업 공사비를 추경 예산에 편성해달라고 당부했다.

시는 6월까지 단기 개선공사를 마친 뒤에는 대심도 터널 설치, 유역 분리, 유역 조정 등 장기적인 개선 대책도 추진할 계획이다.

대심도 터널은 도심에 밀접한 다수의 유역을 잇는 지하 대규모 저류·배수공간으로 서초구가 전임 구청장 시절 제안한 것이다.

터널을 평소에는 지하도로로 사용하다가 집중호우가 일어나면 빗물을 저장하거나 배수하는 시설로 전환해 사용하자는 내용이다.

지하 30m 이하에 터널을 파기 때문에 용지 보상비도 최소화되고 도심에서도 공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관리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집중호우 때 지대가 높은 교대역에서 낮은 강남역으로 몰리는 빗물을 반포천으로 분리함으로써 강남역의 수위를 낮추는 유역분리안, 저지대 수로와 고지대 수로를 조정해 도로 침수를 막는 유역조정안도 논의되고 있다.

서울시 도시안전본부는 “단기대책은 4월까지 설계를 마치고 착공해 6월 완공하고, 유역 분리 설계와 착공은 별도로 일정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반도체고등학교 마이스터고 교육과정 전문성 제고 위해 현장점검 나서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국민의힘)이 서울반도체고등학교(이하 반도체고) 마이스터고 교육과정 개편 현황점검을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와 함께 현장점검에 나섰다. 현장점검은 서울반도체고등학교의 반도체 분야 마이스터고 추진에 걸맞은 교육과정 개편이 충실히 이뤄지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심미경 의원을 비롯해 카이스트 윤태영 교수, 서울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장학사들과 서울반도체고 교장 등 학교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반도체고는 ‘창의와 도전 정신으로 글로벌 반도체 기술을 선도할 영 마이스터 육성’을 교육 목표로 내세우며 마이스터고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 개편과 시설 확충에 집중하고 있으며 2026년 첫 입학생을 맞이하게 된다. 이번 현장점검은 심 의원이 카이스트 윤태영 교수를 초청해 성사됐으며 교육과정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컨설팅 형식으로 이뤄졌다. 윤태영 교수는 “첨단산업·전문인력 양성이라고 하면 고가의 기자재와 시설부터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면서 “교육현장에는 유행을 타는 첨단장비 구입보다는 기업들이 뛰고 있는 현장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장점검을 마치고 심 의원은 “반도체고가 마이
thumbnail - 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반도체고등학교 마이스터고 교육과정 전문성 제고 위해 현장점검 나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