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만의 귀향> ‘한 서린 동토’ 홋카이도 강제노동 유골 첫 인수

<70년 만의 귀향> ‘한 서린 동토’ 홋카이도 강제노동 유골 첫 인수

입력 2015-09-13 14:47
수정 2015-09-13 14: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제강점기에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로 끌려갔다가 돌아오지 못한 한국인 희생자 유골 115위를 봉환하기 위해 현지로 간 대표단이 12일 하루 동안 38위의 유골을 인수하고 첫 추도식을 열었다.
이미지 확대
<70년만의 귀향> 극한의 이국땅에서 고향으로 향합니다
<70년만의 귀향> 극한의 이국땅에서 고향으로 향합니다 12일 오후 일본 홋카이도 슈마리나이 우류에 있는 코켄지에서 열린 조선인 강제노동 희생자 추도식에서 유골 4위가 고향을 향해 봉환되고 있다. 코켄지에는 1938∼1943년 6년간 건설된 당시 동양 최대 규모(발전용량 500㎾)인 우류댐 공사 현장에 강제로 동원됐다가 숨진 조선인 유골 4위가 모셔져 있다. 코켄지 추도식은 앞서 열린 텐유지와 같이 한일 양국의 방식으로 열리고서 홋카이도 원주민인 아이누족의 ’이치아루파’ 방식으로도 진행됐다.
연합뉴스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및 유골 귀향 추진위원회’(이하 귀향추진위) 한국 측 대표 단체인 ㈔평화디딤돌은 이날 홋카이도 최북단인 하마톤베츠(浜頓別)에 있는 절 텐유지(天祐寺)에서 조선인 유골 34위를 인수했다.

이 유골은 2차대전 말기인 1942∼1944년 사루후츠(猿拂) 아사지노(淺茅野) 일본육군비행장 건설 현장에 강제로 동원됐다가 구타와 굶주림, 전염병 등으로 사망한 조선인들의 것이다.

한일 공동발굴단은 2005∼2010년 네 차례 발굴 작업을 벌여 이 유골을 수습, 인근에 있는 텐유지에 맡겼다가 이날 되찾았다.

이어 열린 추도식은 한일 양국의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 불교식 추도 법회와 한국식 제사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됐다.

일본인들은 불상 앞에서 불경을 외고 합장했고, 한국인들은 유골 앞에서 술잔을 세 번 돌리고 두 번 절하며 예를 표했다.

이 과정에서 평화디딤돌과 함께 찾은 유족들은 침통한 표정을 짓다가 끝내 오열하기도 했다.

텐유지 행사를 마친 귀향추진위는 차량으로 2시간 거리인 홋카이도 중북부 내륙 슈마리나이(朱鞠內) 우류(雨龍)댐 인근에 있는 절 코켄지(光(日+業+頁)寺)로 이동했다.

귀환단은 1938∼1943년 건설된 당시 동양 최대 규모(발전용량 500㎾) 우류댐 공사 현장에 강제로 동원됐다가 숨진 조선인 유골 4위를 되찾았다.

코켄지 추도식은 앞서 텐유지와 같이 한일 양국 각자의 방식으로 열린 후 홋카이도 원주민인 아이누족의 추모식인 ‘이치아루파’로도 진행돼 눈길을 끌었다.

아이누족은 당시 공사장에서 탈주한 조선인을 마을에 숨겨주며 인연을 맺었으며, 이후 유골 발굴에 참가한 데 이어 이날 행사도 함께 준비했다고 주최 측은 전했다.

정병호(60·한양대 문화인류학과) 평화디딤돌 대표는 추도식에서 “바다 건너 추운 땅에 왔다가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면서 굶주림과 추위에 괴로워하다 돌아가셨을 그분들을 생각하니 아픈 마음을 누를 길이 없다”며 “양심적인 일본인들이 있어 수풀 밑에 계셨던 분들을 늦었지만 9천리 고향길로 모신다”고 목이 멘 목소리로 말했다.

일본 측 대표 단체인 ㈔아시아시민네트워크의 도노하라 요시히코(殿平善彦·70)씨는 “너무나도 늦었지만 사죄하는 마음으로 유골을 반환한다”며 “유족들이 희생되신 분들을 뒤늦게라도 만나 조금이라도 마음을 열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첫 행사를 마친 귀향추진위는 13일 홋카이도 중부 비바이(美唄) 토메이(東明)의 절 조코지(常光寺)에 안치된 조선인 유골 6위를 모신다.

또 삿포로(札晃)의 사찰 혼간지(本願寺) 별원으로 이동해 이곳에 모셔진 조선인 유골 71위를 받으면서 예정된 유골 115위를 모두 되찾게 된다.

대표단은 이후 배를 타고 도쿄(東京)까지 간 뒤 다시 육로로 교토(京都), 오사카(大阪), 히로시마(廣島)를 거쳐 시모노세키(下關)까지 이동하며 죄없는 희생자들을 낳은 일본 ‘군국주의’를 규탄한다.

이후 이달 18일 부관 페리 편으로 광복 70년 만에 고국 땅을 밟게 되는 유골은 19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장례식을 하고 나서 20일 경기도 파주 서울시립묘지 납골당에 안장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