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28억원 10년째 안내면서 호화여행…그림 등 압류

세금 28억원 10년째 안내면서 호화여행…그림 등 압류

입력 2016-03-15 11:16
수정 2016-03-15 17: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호화생활 비양심 체납자 가택수색·동산압류

서울시가 값비싼 집에 살면서도 밀린 세금을 내지 않는 호화생활자와 사회저명인사 8명의 가택을 수색하고 귀금속 등 동산을 압류했다.

이미지 확대
세금 끝까지 거둔다
세금 끝까지 거둔다 15일 오전 서울시 38세금징수과 조사관들이 서울시 서초구에서 호화생활을 하는 고액체납자 가택을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는 1천만원 이상 시세 체납자 중 고가의 대형 아파트에 사는 호화생활자나 전 기업 대표 등 사회저명인사를 가택수색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시 38세금징수과는 2개조로 나누어 이날 오전 7시부터 오후 3시까지 집에 사람이 있는 4곳을 수색했다.

2010년부터 지방소득세 양도소득분 21억 4천만원을 체납한 김모씨 자택에서는 병풍용으로 추정되는 동양화 24점과 병품 10점, 귀금속 8점, 액자용 미술품 4점 등을 압류했다.

38세금징수과는 기업 대표였던 김모씨가 배우자 명의 사업장과 다른 사람 명의 사업장을 실제 운영하며 회장으로 근무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벤츠 등 고급차량과 골프회원권을 소유했고 법인 명의 토지를 보유한 사실도 파악했다.

시는 체납자 임모씨 집에서는 골프채 4세트와 TV 1대, 기념주화 세트를, 한모씨 집에서는 그림 4점과 냉장고 2대 등을 압류했다.

체납자 강모씨는 아들이 대표로 있는 부동산개발회사에 등기상 감사로 돼 있지만 내부에서 회장으로 불리는 등 실질 대표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모씨는 2003년 귀속 주민세 등 1억 100만원을 내지 않았지만 2006년 경기도 안양시에 배우자 명의로 상가를 취득하고 임대업을 하고 있다.

전 기업 회장인 최모씨는 2006년 부동산을 양도한 뒤 지방소득세 양도소득분 28억 6천여만원을 여태 내지 않으면서 배우자와 함께 매년 미국 하와이, 뉴욕 등으로 수차례 출국해왔다.

심지어 초청강연이라는 거짓 이유를 들어 출국금지를 뚫고 해외에 다녀온 것이 작년 말 확인됐다.

시는 최씨 배우자가 강남구 빌라(시가 25억원)와 용산구 고급주택, 경기도 대규모 땅을 소유하는 등 가족들이 상당한 부동산을 갖고 있어 세금을 낼 능력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모씨는 세금 1억 6천만원을 내지 않으면서 배우자 명의로 월세 600만∼800만원의 강남 소재 대형 아파트에 살고 있다.

지난해 5차례나 출국을 했고 자녀 2명이 미국에서 유학 중인 점에 비춰볼 때 세금을 낼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돼 동산압류 대상으로 선정됐다.

나 전 모 그룹 회장은 부도로 인해 취득세 등 41억 6천만원이 2004년부터 체납됐는데, 배우자가 자녀의 주소지인 용산구 고가 아파트 169.71㎡에 살고 있다.

자녀들은 뚜렷한 소득원이 없는데 고가 부동산을 구입하고 고급차량을 리스해 몰고 있다.

시 38세금징수과는 ‘끝까지 추적해 반드시 징수한다’는 목표에 따라 가택수색과 동산압류 외에 검찰고발, 출국금지, 명단공개 등 다양한 조치를 병행해 자발적 납부를 유도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함께 25개 자치구에서도 5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를 대상으로 가택수색과 동산압류를 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