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성 괴물’ 스누피 VS ‘숙면 유도’ 암소…효과는?

‘각성 괴물’ 스누피 VS ‘숙면 유도’ 암소…효과는?

이지연 기자
입력 2016-04-27 17:42
수정 2016-04-27 17: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 커뮤니티에 게시된 ‘슬로우카우’에 대한 후기
한 커뮤니티에 게시된 ‘슬로우카우’에 대한 후기 출처 = 커뮤니티 캡처
각성효과의 ‘괴물’ 스누피 우유가 유통업계 핫아이템으로 떠오른 가운데 이와 반대로 ‘잠을 부르는 음료’도 주목받고 있다. 에너지드링크 ‘레드불’과 대척점에 있는 릴렉션드링크 ‘슬로우카우(slow cow)’다.
 
슬로우카우의 주성분은 녹차의 아미노산인 테아닌(L-Theanine)으로, 긴장을 완화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바레리안 뿌리 추출물은 피로에 따른 불면증 해소에 도움을 주고, 시계꽃 추출물은 정신 노동으로 인한 긴장감을 완화시킨다. 기타 함유 성분인 린덴과 홉은 불안감 경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슬로우카우가 ‘숙면 유도 음료’로 급부상하면서 국내에서도 관련 후기가 속속 올라오고 있다. 한 네티즌은 “색깔이 민트색이라 예쁘다. 그러나 밍숭맹숭한 딸기맛 감기약에 탄산을 더한 맛이다”라고 후기를 남겼다.
 
해당 음료가 숙면을 유도하는가에 대한 후기는 엇갈린다. “밤에 두세 번씩 깨는데 알람이 울릴 때까지 푹 잤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있는 반면 “몽롱해질 뿐 잠은 오지 않는다”는 평가도 있다.
 
‘에너지드링크는 이렇게 많은데, 왜 진정시키는 음료는 없는가’라는 의문. 바로 캐나다 음료업체가 2008년 ‘슬로우카우’를 만든 배경이다. ‘슬로우카우’라는 이름부터 레드불의 패러디다. 레드불 패키지의 거칠고 강한 ‘황소(bull)’의 이미지와 정반대로 순하고 느릿느릿한 ‘암소(cow)’를 사용했다. 들이받을 듯한 힘찬 황소 대신 잠들어 뻗어있는 암소를 패키지에 그려넣은 점이 인상적이다.
 
이지연 인턴기자 julie31080@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