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산부인과 신생아실 병동에서 간호사들이 아기를 돌보고 있다. 사진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5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중소병원 경영지원 및 정책개발 사업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0월 19일부터 30일까지 병원급 의료기관 362곳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60.2%가 간호사 인력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종합병원과 병원은 연평균 1일 입원환자(외래환자 12명은 입원환자 1명으로 환산)를 2.5명으로 나눈 수의 간호사 인력을 갖춰야 하지만, 병원이 지방에 있거나 운영 병상 수가 작을수록 간호사 인력난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지에 따른 간호사 인력현황을 보면 기준을 충족시킨 비율이 대도시 37.4%, 중소도시 31%, 군지역 17.3%로 지역 규모가 작을수록 간호사 인력부족이 심각했다. 운영 병상 수가 300개 이상인 중소병원 54.9%는 기준 이상의 간호사가 근무하고 있었지만, 병상 수가 300개 미만인 중소병원 중 기준을 충족시키는 비율은 30% 수준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의 중소병원들은 의사보다도 간호사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고 토로하고 있다. 보고서는 “중소병원 운영에 가장 큰 애로사항은 인력확보의 어려움으로 특히 간호사 부족이 심각하다”며 “종별, 병상 규모 등 중소병원을 고려한 개선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