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합병 이전 독도 편입” 일본주장은 거짓…반박 문건 발견

“한일합병 이전 독도 편입” 일본주장은 거짓…반박 문건 발견

입력 2016-08-15 16:04
수정 2016-08-15 16: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시마네현 문서에 “독도 1939년 편입”김문길 소장

독도가 한일합병(1910년) 이전에 일본 시마네(島根) 현으로 편입됐다는 일본 측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할 문서가 발견됐다.

김문길 한일문화연구소 소장은 15일 일본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 자료관’에서 독도가 한일합병 이후 편입됐다는 내용을 담은 시마네현 문서 2장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그동안 1905년 2월 22일 시마네 현의 고시로 독도를 편입했다고 주장해왔다.

1910년 합일합병이 있기 5년 전에 이미 독도를 편입했기 때문에 1945년 태평양 전쟁 패전으로 한국에 반환한 영토에는 독도가 제외된다는 논리였다.

이에 대해 국내 역사학계는 ‘고시’를 통해서는 타국의 영토를 마음대로 편입할 수 없다는 점과 일본이 해당 고시의 원본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 등 고시의 문제점을 주로 반박해 왔다.

사본으로만 존재한 이 고시(일본은 원본이 1945년 불에 탔다고 주장)에는 내부 문서임을 알리는 ‘회람’ 도장이 찍혀 있어 고시가 대외적으로 완료되지 못했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상태였다.

이런 논란 속 김 소장이 입수한 문서는 고시의 적절성을 떠나 아예 일본의 독도 편입 시기에 대한 주장을 전면 반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입수한 문서 2장은 각각 1939년 9월 일본 시마네현과 시마네현 소속 지방촌인 오키섬의 촌장이 주고받은 것이다.

1939년 9월 15일 시마네 현청은 오키섬의 촌장에게 독도를 언제, 어떤 방식으로 편입했는지 질의한다.

시마네현이 이런 질의를 한데는 일본 마이즈루 해군 사령부가 독도를 작전구역으로 삼기 전 시마네 현에 독도와 관련된 내용을 질의했기 때문이라고 김 소장은 설명했다.

시마네현의 질의에 오키섬 촌장은 1939년 9월 24일 문서 326호로 답을 했다.

문서 326호에는 “다케시마를 쇼와14년(1939년) 4월 24일 편입했으며, 당시 촌의회를 거쳐 만장일치로 편입했다”고 적혀 있다.

김 소장은 “문서 326호가 밝힌 데로 독도가 1939년에 편입됐다면 편입 시기가 합일합병(1905) 이후여서 독도는 1945년 일본 패전과 동시에 주권을 반환받은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면서 “이제껏 일본이 주장한 1905년의 고시가 대외적으로 표방되지 못하고 ‘회람’ 상태였다는 정황과도 딱 떨어진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또 “그동안 고시로 독도를 편입했다는 일본의 어처구니없는 주장도 문제지만, 그 주장마저 자신들 내부 문서에 의해 반박되는 이런 상황에서 일본은 영토확장에 대한 야욕을 당장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부산 외국어대학교에서 30년간 교수로 재임하며 학생들에게 일본 역사학을 가르쳤다. 2010년에 퇴임한 뒤 한일문화연구소를 설립해 소장을 맡고 있다. 박사과정 때와 대학교수 재직 시절에는 일본에서 임진왜란 때 만들어진 조선인의 귀 무덤 5곳을 발견해 언론의 조명을 받기도 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