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유착나무돌산호’ 최대 군락지, 독도서 첫 발견

멸종위기종 ‘유착나무돌산호’ 최대 군락지, 독도서 첫 발견

입력 2016-10-23 13:10
수정 2016-10-23 13: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인 ‘유착나무돌산호’의 국내 최대 규모 군락지가 독도에서 최초로 발견됐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6월 21일부터 24일까지 독도 생물다양성 조사를 벌인 결과, 유착나무돌산호의 군락지를 찾아내고 수중장비로 영상을 촬영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영상은 독도 서도 서쪽 수중 25m 지점 바위에 자생하는 유착나무돌산호의 대규모 군락지 모습을 담고 있다.

유착나무돌산호는 군체와 촉수가 주황빛을 띠는 무척추동물 산호류의 하나다. 주로 청정해역 수심 20∼30m의 바위에 붙어 산다. 남해안과 동해안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체는 같은 종류의 개체가 많이 모여 공통의 몸을 이뤄 생활하는 집단이다. 촉수는 몸 앞부분이나 입 주위에 있는 돌기 모양의 기관이다.

독도에서 발견된 유착나무돌산호 군락은 폭 5m, 높이 3m이다. 단일 서식지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이전까지는 2013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에서 발견된 폭과 높이 각 1m 미만의 유착나무돌산호 군락이 최대였다.

유착나무돌산호는 이동성이 없는 고착성 생물이다. 독도의 생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유착나무돌산호의 서식이 확인됨에 따라 지금까지 독도에서 발견된 무척추동물은 해송을 포함해 총 2종으로 늘어났다.

해송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이다.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 수심 20m 전후에 분포하는 산호류다. 2008년 독도에 서식하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독도에는 이번 유착나무돌산호를 포함한 무척추동물 2종, 매·솔개 등 조류 16종, 물개·물범의 포유류 2종 등 총 20종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기록이 있다.

백운석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조사로 독도가 멸종위기종을 비롯해 다양한 자생생물의 중요한 서식지임을 다시 확인했다”며 “독도 자생생물 인벤토리 구축사업을 계속 벌여 독도의 생물주권 확보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