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서울 도심서 보혁단체 집회…美·日대사관앞 행진도

‘광복절’ 서울 도심서 보혁단체 집회…美·日대사관앞 행진도

입력 2017-08-14 15:47
수정 2017-08-14 15: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72주년 광복절인 15일 서울 도심에서 진보·보수단체의 집회가 잇따라 열린다.

14일 민주노총과 한국진보연대 등 200여 시민단체가 모여 꾸린 8·15범국민평화행동 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이들은 15일 오후 3시30분 서울광장에서 1만명 규모의 ‘8·15 범국민대회’를 열 계획이다.

이들은 집회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한미군사연습 중단과 한일위안부합의·한일군사협정 철회 등을 요구한다.

이들은 집회 후 서울광장을 출발해 광화문광장과 율곡로를 거쳐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앞을 지나 주한미국대사관을 에워싸는 ‘인간 띠 잇기’ 행진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은 이들이 낸 행진 신고 가운데 미·일 대사관을 지나는 경로에 대해 제한통고를 했다.

이에 이들은 법원에 경찰의 제한통고를 취소해달라는 집행정지 신청을 냈다. 법원은 14일 오후 중에 이에 관해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앞서 민주노총도 오후 2시 서울광장에서 8·15 범국민대회의 사전행사를 겸한 8·15 전국노동자대회를 연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도 이날 정오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8·15민족대회를 개최한다.

보수단체들도 강남과 강북으로 갈려 도심 집회와 행진을 벌인다.

현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한애국당 창당준비위원회는 ‘박근혜 대통령 무죄 석방 1천만 서명운동본부’와 함께 오후 2시 강남구 삼성역에 모여 ‘태극기 집회’를 열고 강남역까지 행진할 계획이다.

창준위는 조 의원과 허평환 전 기무사령관이 이날 오전 10시 국립현충원 육영수 여사 묘역을 참배한 뒤 집회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보수 계열이지만 대선 이후 이들과 갈라진 ‘신의 한 수’, ‘엄마부대’ 등과 애국단체총협의회, 새로운한국을위한국민운동 등은 이날 오후 4시 종로구 대학로에서 ‘8·15 구국국민대회’를 열고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탈원전 반대 등을 주장할 예정이다. 이들은 집회 후 청와대 방면으로 도심 행진도 벌인다.

경찰은 81개 중대 6천500명 경찰병력을 동원해 혹시 모를 충돌 상황에 대비할 계획이다.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7일 서울고등학교 강당에서 열린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에 이새날 서울시의원이 참석해 서울 대표 선수단을 격려했다. 이날 결단식에는 학생선수 856명을 비롯해 학부모, 교사, 지도자 등 약 1000명이 함께했으며, 학생선수단 입장, 축하공연, 격려사, 단기 전달식, 선수 선서, 스포츠 가치 실천 선언 순으로 진행됐다. 이 의원은 격려사를 통해 “서울을 대표해 출전하는 우리 선수들이 최선을 다해 노력한 만큼 값진 결과를 거두길 바란다”며 “학생선수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대표 선수단은 오는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경상남도 김해 일원에서 열리는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에 참가해 35개 종목에서 기량을 겨룰 예정이며, 금메달 80개 이상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생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안전한 훈련 환경을 위해 훈련비, 안전 설비비, 지도자 인건비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학습권과 인권 보장을 위해 방과 후와 휴일을 활용한 훈련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한편, 이 의원은 지난해 제53회 전국소년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