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17일 서울 삼성동 사무실에서 성명서 발표를 통해 자신의 주변인에 대한 검찰 수사에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그의 사무실에 걸린 사자성어가 눈길을 끌었다.
이미지 확대
이명박 전 대통령이 17일 서울 사무실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명박 전 대통령이 17일 서울 사무실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수도선부(水到船浮)’란 성어는 물이 차면 배가 떠오른다란 뜻으로 이 전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날 국립 현충원을 찾아 방명록에 남긴 글귀이기도 하다. ‘수도선부’는 2013년 이 전 대통령의 신년사에도 등장했는데 원래는 송나라때 성리학자인 주희가 제자들과 함께 한 어록을 모아 편집한 ‘주자어류’에서 나온 말이다. 욕심부리지 않고 공력을 쌓으면서 기다리면 큰일도 어렵지 않게 이룰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희는 제자들에게 “진리를 탐구하여 참된 학문의 힘이 쌓이면 애쓰지 않아도 하는 일이 저절로 이치에 맞게 된다”라는 뜻에서 ‘수도선부’를 말했다. 즉 준비된 성공을 뜻하는 사자성어이기도 하다. 이 전 대통령은 현충원 방명록에 ‘수도선부’와 함께 ‘더 큰 대한민국. 국민 속으로’란 글씨도 남겼다.
2013년 신년사에서는 경제위기로 국민의 삶이 어려워졌지만 기회이기도 하다는 말로 시작하며, ‘수도선부’로 희망을 강조했다. 당시 이 전 대통령은 “물이 불어나면 큰 배가 저절로 떠오른다는 옛말처럼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세계를 향해 돛을 올리고 힘차게 나아갈 때”라고 말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