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위험 피하려 300m 음주운전…‘무죄’

교통사고 위험 피하려 300m 음주운전…‘무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5-13 10:48
수정 2018-05-13 1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울산지법 “대리 기사가 도로에 차 세우고 가버려…긴급피난 해당”

대리운전기사가 도로에 차를 세우고 가버린 탓에 위험한 상황을 벗어나고자 약 300m 차를 몬 행위는 ‘긴급피난’에 해당하므로 음주운전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

울산에 사는 A(34)씨는 지난해 7월 24일 저녁 지인들과 술을 마시고 대리운전기사를 불렀다.

A씨는 지리를 몰라 내비게이션을 보며 운전하는 대리기사에게 “길을 잘 모르느냐” “운전을 몇 년 했느냐” 등 운전능력을 의심하는 말을 했고, 두 사람 사이에 시비가 붙었다.

급기야 A씨는 화를 내며 “차에서 내리라”고 했고, 대리기사는 도로에 차를 세워놓고 가버렸다.

A씨는 대리운전 업체에 전화해 다른 대리기사를 요청했으나, 보내줄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차가 정차한 곳은 갓길이 없는 편도 2차로였다.

경찰에 따르면 제한속도는 시속 70㎞이지만, 시속 80㎞로 지나는 차들도 적지 않은 곳이다.

당시에도 다른 차들은 A씨의 차 옆을 빠른 속도로 지나면서 경적을 울렸다.

A씨는 직접 운전대를 잡고 근처 주유소까지 약 300m를 몰았다.

A씨는 스스로 112에 전화해 “대리기사가 가버렸는데 위험할 것 같아 운전했다”고 신고했다.

울산지검은 혈중알코올농도 0.140% 상태로 차를 몬 A씨를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검사는 ‘(차를 이동시켜줄)지인이나 경찰에게 연락하지 않았으므로 긴급피난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을 냈다.

울산지법 형사9단독 송영승 부장판사는 그러나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고 13일 밝혔다.

재판부는 “지인이나 경찰이 새벽 시간에 음주운전 차량을 이동해 줄 기대가능성이 현실적으로 높지 않으므로 검사의 의견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면서 “경찰에게 음주운전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업무까지 추가로 부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새벽 시간에 장시간 차를 정차했을 경우 사고위험이 커 보이는 점, 피고인이 임박할지도 모르는 사고를 회피하고자 필요한 거리를 운전한 사정, 피고인의 행위로 침해되는 사회적 법익보다 보호되는 법익이 우월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대리기사에게 화를 내면서 차에서 내리라고 말한 사정도 있지만, 이 사건 운전은 현재 위난을 피하기 위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행위에 해당하므로 위법성이 조각(阻却·성립하지 않음)된다”고 무죄 이유를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