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탕 목에 걸려 사경 헤맨 네 살배기 생명 구한 육군 부사관

사탕 목에 걸려 사경 헤맨 네 살배기 생명 구한 육군 부사관

신성은 기자 기자
입력 2019-05-23 15:10
수정 2019-05-23 15: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신문고에 감사의 글 게시하면서 사연 뒤늦게 알려져

사탕이 목에 걸려 사경을 헤매던 네 살배기 아이를 ‘소아 하임리히법’으로 구조한 육군 부사관의 사연이 국민신문고를 통해 뒤늦게 알려졌다.

사연의 주인공은 12사단 독수리연대 의무중대 소속 김선길 상사다.

지난해 10월 21일 인제군 북면 원통시장을 찾은 김 상사는 사람들이 웅성거리자 이상한 생각이 들어 그곳으로 다가갔다.

그 순간 창백한 얼굴에 호흡곤란 증세를 보이는 A(4)군을 붙잡고 우는 아이의 어머니를 발견했다.

당시 A군은 사탕이 목에 걸리면서 기도가 폐쇄돼 호흡곤란 증세를 보였다.

자칫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위급한 상황이라고 판단한 김 상사는 ‘소아 하임리히법’을 실시했다.

그러자 A군의 목에 걸려 있던 사탕이 밖으로 튀어나왔고, 정신이 혼미했던 아이의 의식과 호흡은 곧 안정을 되찾았다.

김 상사의 이 같은 신속한 응급처치는 ‘응급구조자 2급’ 자격증을 보유한 탓에 가능했다.

당시 경황이 없었던 A군의 어머니는 아들의 생명을 살려준 김 상사에게 고마움을 표현하기 위해 수소문했지만 찾지 못했다.

결국 지난달 23일 국민신문고에 ‘고마움을 표현하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라는 글을 게시하면서 알려졌다.

김 상사는 “평소 군에서 배운 응급조치 요령대로 행동했고, 당시 상황이라면 누구라도 시민의 목숨을 구하려고 노력했을 것”이라며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