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실물경제 위축으로 소상공인들이 막대한 피해를 호소하는 가운데 행정기관과 민간·금융권 등 각계각층이 고통 분담에 동참하고 있다.
28일 광주시에 따르면 코로나19 고통 분담 차원에서 산하 공공기관이 임대하는 모든 시설의 임대료를 인하하기로 했다. 지역 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세 신고·납부 기한 연장과 함께 징수를 유예하기로 했다.
특히 골목상권 특례보증을 340억원에서 432억원으로, 피해 기업에 대한 특례보증도 기존 자동차부품에 국한돼 있던 것을 코로나19 피해 기업까지로 확대했다.
광주신용보증재단은 기존 대출이 있어도 추가 보증이 가능한 상품들을 마련하는 등 지역 영세 자영업자들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광산구는 송정5일시장·월곡시장·비아5일시장 등 지역 내 공설시장 3곳의 사용료 납부를 오는 4월 말까지 두 달 유예했다.
상설시장인 월곡시장의 1년 사용료는 350만∼400만 원이다. 5일 시장인 송정5일시장과 비아5일시장의 1년 사용료는 19만∼25만 원이다.
해당 시장의 토지와 건물은 광산구 소유이며, 광산구는 매년 2월 말까지 1년분 사용료를 받고 있다.
광산구 관내 사설 시장인 1913 송정역시장 일부 건물주들도 상생과 고통 분담을 위해 건물 임대료 인하에 나섰다.
상인회 가입 점포 건물주 25명이 자발적으로 임대료 인하를 결정한 것이다. 인하의 폭은 10∼25%이다.
북구는 권역별 지역 식당 및 골목상권 이용 운동, 전 직원 금요일 ‘가족과 함께 외식 하는 날’ 운동, 전 부서 전통시장 장보기 운동, 지역 중소기업 제품 우선 구매, 전통시장 전기요금 할인 등을 추진 중이다.
광주은행도 코로나19 피해 업체 지원을 위해 10억 원을 특별 출연했다. 은행은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광주 지역 소기업·소상공인으로 기업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한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8일 광주시에 따르면 코로나19 고통 분담 차원에서 산하 공공기관이 임대하는 모든 시설의 임대료를 인하하기로 했다. 지역 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세 신고·납부 기한 연장과 함께 징수를 유예하기로 했다.
특히 골목상권 특례보증을 340억원에서 432억원으로, 피해 기업에 대한 특례보증도 기존 자동차부품에 국한돼 있던 것을 코로나19 피해 기업까지로 확대했다.
광주신용보증재단은 기존 대출이 있어도 추가 보증이 가능한 상품들을 마련하는 등 지역 영세 자영업자들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광산구는 송정5일시장·월곡시장·비아5일시장 등 지역 내 공설시장 3곳의 사용료 납부를 오는 4월 말까지 두 달 유예했다.
상설시장인 월곡시장의 1년 사용료는 350만∼400만 원이다. 5일 시장인 송정5일시장과 비아5일시장의 1년 사용료는 19만∼25만 원이다.
해당 시장의 토지와 건물은 광산구 소유이며, 광산구는 매년 2월 말까지 1년분 사용료를 받고 있다.
광산구 관내 사설 시장인 1913 송정역시장 일부 건물주들도 상생과 고통 분담을 위해 건물 임대료 인하에 나섰다.
상인회 가입 점포 건물주 25명이 자발적으로 임대료 인하를 결정한 것이다. 인하의 폭은 10∼25%이다.
북구는 권역별 지역 식당 및 골목상권 이용 운동, 전 직원 금요일 ‘가족과 함께 외식 하는 날’ 운동, 전 부서 전통시장 장보기 운동, 지역 중소기업 제품 우선 구매, 전통시장 전기요금 할인 등을 추진 중이다.
광주은행도 코로나19 피해 업체 지원을 위해 10억 원을 특별 출연했다. 은행은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광주 지역 소기업·소상공인으로 기업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한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