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P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영국-스웬덴 다국적 제약회사인 아스트라제네카.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15일 “구체적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1000만명분에 대해 한국 정부에 공여하겠다고 밝혔다”며 “노바백스 (백신도) 이 물량 이상은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자신한다”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는 앞서 각각 SK케미칼의 100% 자회사인 SK바이오팜과 국내 생산 의향서 등을 체결한 바 있다. 일단 국내서 생산한 백신 분량을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본사로 공급한 뒤 다시 전세계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임 국장은 이어 “화이자나 존슨앤드존슨, 모더나 등도 한국 정부에 백신 공급 의사를 이미 밝혔다. 구체적으로 구매계약을 맺진 않았지만 2000만명분 백신 구매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임 국장은 “이들 기업과 국내 백신 공급에 대해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앞으로 우수한 백신 개발사가 나오면 추가 협상채널을 가동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뒤 어떠한 백신을 선구매할 지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임인택 국장은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임상이 중단됐다가 재개됐다”며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가 아직 안된 상황에서 서둘러 선구매를 하면 우를 범할 수 있다. 일정 부분 검토를 한 뒤 계약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 날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코로나19 백신 도입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백신 확보를 차질없이 진행하기 위해, 선구매 계약을 위한 비용 1723억원을 질병관리청에서 집행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