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봉 창녕군 우포따오기과장

이성봉(왼쪽) 창녕군 우포따오기과장(옛 우포따오기복원센터장)
6일 경남 창녕군 우포늪 인근에 있는 우포따오기 복원센터에서 따오기 40마리를 야생으로 방사했다.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인공으로 복원·증식해 키운 따오기다. 환경부와 경남도 등이 우리나라에서 멸종된 따오기 복원을 위해 2019년 처음 40마리를 자연으로 내보낸 것을 시작으로 올해로 3번째 한 야생방사다.
따오기 복원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이성봉(52) 창녕군 우포따오기과장(옛 우포따오기복원센터장)은 “2008년 중국에서 들여온 따오기 4마리로 복원·증식을 시작해 3년째 야생방사를 하는 동안 따오기 증식·복원 기술과 노하우를 충분히 터득해 중국·일본과 비슷한 수준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과장은 “2019년 방사한 따오기 한 쌍이 올해 야생에서 스스로 산란을 한 뒤 최근 새끼 두 마리가 처음으로 태어남으로써 마침내 야생에서 증식까지 성공했다”면서 “우리나라에서 따오기가 스스로 야생에서 산란과 부화를 해 새끼가 태어난 것은 1979년 비무장지대에서 따오기가 마지막으로 관찰된 이후 처음”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논이나 습지와 같은 따오기 서식환경이 오염되거나 파괴돼 따오기가 먹이로 이용하는 미꾸라지나 개구리 등이 사라지면 따오기도 서식할 수 없다”면서 “서울 주변에서도 따오기를 쉽게 보고, 따오기와 인간이 공존하기 위해서는 온 국민이 환경보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과장은 자연에서 서식하는 따오기가 300마리가 넘을 때까지 인공 복원·증식 사업을 이어 가겠다고 했다. 이는 300마리가 넘어야 자연 부화를 통해 따오기 스스로 개체를 지킬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앞으로 10여년간은 따오기 복원센터에서 인공으로 복원·증식한 따오기를 일년에 한 번씩 야생방사를 계속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과장은 “전국 산과 들판에서 따오기가 날아다니는 모습은 자연환경이 그만큼 깨끗하게 보전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면서 “반드시 그런 날이 올 수 있도록 따오기복원센터 모든 직원이 따오기 복원·증식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창녕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21-05-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