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접종자는 누적 4113만 8792명으로 인구의 80.1% 수준이며, 18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하면 92.2%에 달한다.
국내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등 4가지 백신으로 예방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얀센 백신은 1회로 접종이 완료되고 나머지 백신은 2회 접종이 필요하다.
얀센 접종자는 지난달 28일부터 총 61만 9226명이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예약했다.
지난달 18일부터 접종이 이뤄지고 있는 16∼17세는 이날 0시까지 38만 2582명이 접종을 받았고, 임신부는 총 1055명이 접종했다.
지난달 18일부터 사전 예약에 들어간 12∼15세의 경우 대상자의 27.2%(50만 7690명)가 예약을 마쳤다. 12∼15세 접종 예약은 이달 12일 마무리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코로나19 백신 접종
연합뉴스
숨진 고3, 8월 중순 백신 접종 후 10월 말 사망…기저질환 없어백신을 맞은 뒤 이상반응이 의심된다고 보건당국에 신고한 신규 사례는 지난달 30∼31일 이틀간 총 2416건이다.
이틀간 사망신고는 화이자 백신 접종 사례 1건이 추가됐다. 사망자는 80대 여성으로, 지난달 29일 백신 접종 후 약 이틀 뒤인 31일 사망했으며, 기저질환 여부는 조사하고 있다. 당국은 접종과 사망 간 인과성을 조사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30일 화이자 백신 접종 후 75일 만에 사망한 10대와 관련해선 현재 인과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10대인 고3 남학생은 지난 8월 13일 화이자 백신을 접종했고 지난 27일 사망한 사례가 방역 당국에 신고됐다.
방역당국에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고3학생의 사망사례가 신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망자는 평소 앓는 기저질환(지병)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윤아 이상반응조사팀장은 “예방접종 후 발생한 사망 또는 중증 사례에 대해서는 보건소에서 먼저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시도 신속대응팀의 역학조사를 거쳐 분야별 전문가 자문회의, 피해조사반 인과성 평가 등이 순차적으로 이뤄진다”면서 “현재 조사 진행 중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의심 신고는 7건 늘었고 신경계 이상반응 등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23건이 새로 신고됐다.
국내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올해 2월 26일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 신고는 누적 35만 4329건(사망 누적 836건)이다. 이는 이날 0시 기준 누적 접종 건수(7841만 6371건)와 비교하면 0.45% 수준이다.
이미지 확대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첫 날인 1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관람객들이 팝콘과 음료를 들고 ‘백신패스관’에 들어가고 있다.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지침에 따라 CGV는 코로나19 이전의 모습을 되찾기 위해 팝콘 등 음식 섭취가 가능한 백신패스관을 마련했다. 2021.11.1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첫 날인 1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관람객들이 팝콘과 음료를 들고 ‘백신패스관’에 들어가고 있다.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지침에 따라 CGV는 코로나19 이전의 모습을 되찾기 위해 팝콘 등 음식 섭취가 가능한 백신패스관을 마련했다. 2021.11.1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이미지 확대
위드코로나 첫날 철거되는 접종센터 단계적 일상회복, 일명 ‘위드 코로나’ 시행 첫날인 1일 오후 운영을 종료한 서울 동작구 제2접종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철거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위드코로나 첫날 철거되는 접종센터
단계적 일상회복, 일명 ‘위드 코로나’ 시행 첫날인 1일 오후 운영을 종료한 서울 동작구 제2접종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철거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