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권하는 성북구… ‘U-도서관’ 무인대출기 추가 설치

책 권하는 성북구… ‘U-도서관’ 무인대출기 추가 설치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1-11-12 14:12
수정 2021-11-12 14: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 성북구가 장위동 성북구자원봉사센터에 설치한 ‘U-도서관’ 무인대출기의 모습. 오는 16일부터 운영한다. 성북구 제공
서울 성북구가 장위동 성북구자원봉사센터에 설치한 ‘U-도서관’ 무인대출기의 모습. 오는 16일부터 운영한다.
성북구 제공
서울 성북구가 장위동에 위치한 성북구 자원봉사센터에 ‘U-도서관’ 도서 무인대출기를 설치하고 오는 16일부터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성북구는 언제 어디서든 주민들이 쉽게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12년 성북구청, 성신여대입구역, 월곡역을 시작으로 이번에 자원봉사센터까지 총 13곳에 무인대출기를 설치했다. 구에 따르면 이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 가장 많은 개수다.

U-도서관은 주민들이 출·퇴근 시간에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에 설치된 기기를 통해 책을 대출하고 반납할 수 있는 무인 도서관이다.

성북구통합도서관 홈페이지나 성북 U-도서관 모바일 앱을 통해 성북구립도서관 15곳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를 예약한 뒤 무인대출기에서 빌릴 수 있다.

성북구립도서관 회원증을 소지한 사람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회원증이 없을 경우 ‘서울시민카드’ 앱을 통해 가입 후 이용하면 된다. 이용자들은 무인예약대출 서비스를 통해 1인당 2권씩 최대 14일간 대출할 수 있다. 1회에 한해 7일간 연장할 수 있다.

위치나 이용시간 등 자세한 사항은 성북구통합도서관 홈페이지 또는 성북정보도서관(02-962-108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성북구립도서관에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성북구민의 독서문화 진흥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