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청망청 옛말… 대학가 ‘NO알코올존’ 뜬다

흥청망청 옛말… 대학가 ‘NO알코올존’ 뜬다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3-15 20:30
수정 2022-03-16 06: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 학기 캠퍼스 ‘코로나 신 풍속도’

이미지 확대
신입생 환영회·뒤풀이 음주 선택권 존중 기류
비음주 조 별도로 편성… 학생들 환영 분위기

대학들이 새 학기를 맞아 대면 수업을 속속 재개한 가운데 캠퍼스 내 음주 문화도 ‘부어라, 마셔라’가 아닌 각자의 음주 선택권을 존중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서울 성동구의 한양대 사회과학대는 지난주 학과별로 진행한 신입생 환영회에서 술을 마시지 않는 ‘노알코올존’을 마련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모임 인원 제한으로 신입생과 재학생을 4~5명씩 묶어 조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음주 여부를 조사해 술을 마시지 않는 조를 따로 편성한 것이다.

노알코올존 아이디어를 낸 박진희(22) 사회과학대 회장은 15일 “코로나19 이전에는 한 테이블에 모든 학생들이 모여 앉아 술을 마시는 학생과 마시지 않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었지만 인원 제한(6명)이 있는 지금은 조끼리만 소통할 수 있어 조 편성에 고민을 많이 했다”며 “술을 마시지 않는 학생들도 편안한 분위기에서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서대문구의 한 4년제 대학에서 동아리 부회장을 맡았던 이승우(29)씨는 학생들의 음주 여부를 존중하기 위해 ‘노터치(no-touch) 잔’ 제도를 운영했다. 빨간색과 파란색 등 잔의 색깔이나 종류를 달리해서 술을 마시는 학생과 마시지 않는 학생을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씨는 “술을 마시지 않겠다는 노터치 잔을 선택한 학생에게는 애초에 술을 권하지 않아 눈치를 보지 않도록 하자는 취지”라며 “음주로 인한 사고나 감염 위험 확산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음주를 강요하지 말자는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등 배려하는 분위기가 생겼다”고 말했다.



건강 등의 이유로 술을 마시지 못하는 학생들은 이러한 변화를 반기는 분위기다. 독서 동아리에서 비대면으로 뒤풀이를 했다는 대학생 김모(23)씨는 “신입생이었던 4년 전에는 혼자 술을 마시지 않으면 괜히 눈치가 보여 먹는 척했다”면서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 모임이 늘고 음주를 하든 말든 신경을 덜 쓰는 분위기가 조성돼 더 편한 마음으로 뒤풀이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2022-03-1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