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대표 어린이 공원 ‘어린이대공원’, 2025년까지 전면 재정비

50년 대표 어린이 공원 ‘어린이대공원’, 2025년까지 전면 재정비

이하영 기자
입력 2022-05-02 13:55
수정 2022-05-02 1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어린이대공원 전면 재정비 조감도. 서울시 제공.
어린이대공원 전면 재정비 조감도. 서울시 제공.
국내에서 어린이를 위해 최초로 계획된 공원인 어린이대공원이 50여년만에 현대화된 복합 휴식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는 노후화된 어린이대공원을 2025년까지 전면 재정비하는 등 서울 자치구 놀이환경을 대폭 정비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1973년 탄생한 어린이대공원은 2006년부터 시민에 무료개방해 온 이후 별도의 정비사업 없이 부분 보수만 진행돼왔다. 시설 노후화로 이용객이 감소하면서 민간시설에 비해 경쟁적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에 시는 50여년간 자리를 지켜 온 어린이 대표 공원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2025년까지 연차적으로 어린이대공원 시설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새단장할 계획이다.

기존 팔각당은 올해 말 준공을 목표로 가족이 모두 함께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한다. 최근 동물공연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나오는 것을 고려해 동물공연장은 내년까지 500석 이하 규모의 다목적 실내 문화공연장으로 바꾼다. 노후된 식물원도 2024년까지 주제별 식물원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출입구, 산책로, 연못 등 각종 노후 시설도 대거 교체할 계획이다.

특히 기후변화 현상 등을 고려해 어린이대공원을 비롯한 보라매공원, 북서울꿈의숲 등 서울 시내 공원 10곳에 ‘공원 내 실내놀이터’도 만든다. 폭염이나 혹한,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도 어린이들의 놀 권리를 보장하자는 취지다. 실내놀이터에는 미세먼지와 환경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친환경 안전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지정된 곳 외에도 서울 시내 공원 내 실내놀이터 조성 대상지를 추가 발굴할 예정이다.

유영봉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 여가에 대한 시민 수요 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념의 놀이 환경 확충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