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쉬었다” 인구감소에도 구직 않는 20대…이유는?

“그냥 쉬었다” 인구감소에도 구직 않는 20대…이유는?

입력 2023-06-18 16:58
수정 2023-06-18 1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취업자·실업자 수 줄어들어
20대 인구 22개월째 감소
‘쉬었음’ 20대 3만 6000명↑
“원하는 근로조건 없을 것 같아”

이미지 확대
지난달 2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제1차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2023.5.22 연합뉴스
지난달 2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제1차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2023.5.22 연합뉴스
20대 청년 인구와 취업자 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쉬는 청년은 늘었다.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데는 ‘원하는 임금 수준·근로조건의 일자리가 없다’는 이유가 가장 컸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20대(20~29세) 취업자 수는 지난해 동월보다 6만 3000명 줄어 383만 3000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7개월째 감소세다. 실업자 역시 지난해보다 6만 7000명 줄어든 24만 1000명이었다.

인구 감소가 취업자·실업자 수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20대 인구는 615만 5000명이었다. 635만 1000명이었던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19만 6000명 감소했다.

20대 인구는 2021년 7월 8000명 증가를 마지막으로 감소세로 전화돼 22개월째 전년 같은 달보다 줄어들고 있다. 해당 연령대 인구 자체가 줄다 보니 취업자도 실업자도 함께 줄어드는 것이다.

청년 35만 7000명 ‘쉬었음’이러한 인구 감소 흐름에도 구직도 취업 준비도 하지 않고 쉰 청년의 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지난달 경제활동 상태를 물었을 때 ‘쉬었음’이라고 답한 20대는 지난해보다 3만 6000명 증가한 35만 7000명이었다. 전체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쉬었음’ 인구가 증가한 연령대는 20대가 유일했다.

통계청 조사에서 인구는 크게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뉜다. 경제활동 인구에는 취업자와 구직 활동을 했으나 취업하지 못한 실업자가 포함된다.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들은 비경제활동 인구로 분류된다. 별다른 사정 없이 구직도 취업도 하지 않은 ‘쉬었음’도 비경제활동 인구에 속한다.

지난달 20대 비경제활동 인구 활동 상태 분류 가운데 ‘쉬었음’은 정규교육 기관 통학(99만 7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취업 준비(33만 1000명)나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통학(11만 3000명)보다도 그냥 쉰 청년의 수가 더 많았다.

지난달 취업 의사가 있었던 20대 비경제활동 인구를 대상으로 최근 구직을 하지 않았던 이유를 물었을 때 가장 많이 나온 답변은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17만 3000명)였다. ‘교육·기술·경험이 부족해서’(16만 9000명),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0만 5000명) 등의 답변도 많이 나왔다.

반면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2만 3000명), ‘근처에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만명)라는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