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운임 고공행진에 수출 포기까지…부산상의, “정책지원 확대해야”

해상운임 고공행진에 수출 포기까지…부산상의, “정책지원 확대해야”

정철욱 기자
정철욱 기자
입력 2025-01-08 12:03
수정 2025-01-08 1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부산상공회의소
부산상공회의소


급등한 해상운임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부산지역 기업들이 수출을 포기하거나 축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8일 지역 275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물류비와 관련한 실태와 의견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지역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은 6.9%였다. 이는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이 10%를 넘는 기업이 전체의 32.4%나 있어 최근 해상운임 급등의 영향을 받는 기업이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상운임이 급등하기 전인 2023년 말과 비교해 물류비 부담 수준이 어떻게 달라졌느냐는 질문에 35.5%가 부담이 커졌다고 답했다. 부담이 줄었다고 답한 기업은 5.5%에 지나지 않았다. 전체 물류비 중 해상운송비가 50%를 넘는 수출기업들은 48.2%가 물류비 부담이 늘었다고 답했다.

물류비 상승에 따른 피해로는 전체의 29.5%가 납기 변동과 지연을 꼽았다. 채산성 상실에 따른 수출 포기 또는 축소라고 답한 기업도 28.0%나 있었다. 또 21.8%는 원·부자재 조달 차질을 겪었다고 답했다.

해상운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는 전체의 76.7%가 직접적인 수출 물류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다음은 물류 창고 등 보관 지원 10.9%, 터미널 반입일 연장 5.5%, 컨테이너 확보 지원 4.4% 순이었다.

기업들은 해상운임이 올해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상화 시점을 언제로 예측하느냐는 질문에 40.9%가 2026년 이후로 답해 해상운임 고공행진의 장기화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해상운임이 큰 폭으로 상승한 후 안정화되지 않아 수출기업의 피해가 누적되는 상황인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관세 인상 등 수출 환경의 불안 요인마저 커지고 있다”라며 “대외 변수에 대응력이 취약한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지역 경제 특성을 고려하면,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물류비 지원 등 정책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