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충남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은골)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해 발굴 현장 한쪽에서 창날로 추정되는 쇠붙이들이 눈에 띄었다.
지난 3일부터 유해 발굴이 진행 중인 이곳은 1950년 10월 초 북한군에 부역했다는 이유로 적게는 80명, 많게는 300명이 학살된 장소이다.
지금까지 25구의 유해가 발굴된 가운데 40㎝가량의 녹슨 금속도 5개 발견됐다.
한쪽 끝이 뾰족한 이 금속의 반대쪽에는 나무가 끼워져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원형 고리가 있어, 학살에 사용된 창날일 것으로 짐작된다.
현장에서는 M1 소총 탄피 10개가량과 탄두 1개, 희생자의 것으로 보이는 신발도 발굴됐다.
발굴 작업은 일단 이번 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더한문화유산연구원은 당진시와 연장 여부를 협의하고 있다.
유해들은 감식을 거쳐 세종시에 있는 추모의 집에 안치된다.
5살 때 아버지를 잃은 임홍빈 희생자유족회장은 “유족들은 ‘빨갱이 자식’이라는 낙인을 피해 뿔뿔이 다른 곳으로 떠났다”며 “농사를 짓다 영문도 모른 채 끌려가 학살된 희생자들의 명예가 회복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할아버지나 아버지 시신조차 찾지 못한 유족들이 전국에 있다”며 “이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정부가 유해 발굴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