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자는 은퇴하지 않습니다. 나이는 숫자일 뿐”

“기술자는 은퇴하지 않습니다. 나이는 숫자일 뿐”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5-04-16 22:07
수정 2025-04-16 2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7세 현역 의상 디자이너 김재곤 씨
올해 광주기능경기대회서 빛난 ‘의상 장인의 손끝’
20년째 출전…바늘 놓지 않는 이유는 끝없는 도전

이미지 확대
▒77세 현역 의상 디자이너 김재곤 씨.
▒77세 현역 의상 디자이너 김재곤 씨.


“몸이 허락하는 한, 끝까지 가는 겁니다. 나이는 그저 숫자일 뿐입니다.”

60년 넘게 바늘과 실을 잡아온 의상 장인이 올해도 다시 무대에 섰다. 지난 9일 제44회 광주기능경기대회 의상디자인 부문에 출전한 김재곤 씨(77). 그는 올해로 이 대회에 20년째 도전 한 셈이다. “기술자는 은퇴하지 않는다.”고 그는 힘주어 말한다. 세월을 비껴간 손끝은 여전히 능숙하고, 그가 표현하는 기술은 이제 하나의 예술이 됐다.

김 씨가 처음 바느질을 한 것은 1966년. 열일곱 살 전남 화순의 소년은 서울 충무로의 양복점에 취업하면서 옷 만들기를 시작했다. 생계를 위한 일이었지만, 그에게 실과 천은 단순한 재료가 아니었다. 인생을 바꾸는 매개체였다. 다섯 해 뒤, 광주로 돌아와 ‘신진라사’라는 이름의 양복점을 열었다. “정확하고 꼼꼼하게 만들다 보니, 손님들이 먼저 알고 다시 찾아오곤 했죠.” 당시를 회상하며 그는 환하게 웃었다.

그의 작업은 단순한 옷 만들기를 넘어선다. 손끝으로 나타난 섬세한 기술, 그 자체가 예술이다.

“그 시절엔 모든 공정이 손으로 이뤄졌어요. 재단도, 박음질도 모두 손끝에서 나오는 기술이었죠.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완성도는 확실히 달랐습니다.”

손끝에서 옷이 만들어지던 시대를 그는 고스란히 기억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기술을 지켜내고 싶어 했다.

세월이 흘러 2006년, 그는 광주기능경기대회 심사위원으로 승격(?)했지만, 2010년에는 다시 선수로 참가해 은상을 받았다. “직접 평가받는 것이 더 매력적이더군요.” 이후 2017년 은상, 2019년 동상을 받으며 꾸준히 입상하자 전국대회에서 그의 존재감이 점차 드러났다. 특히 그가 제작한 ‘여성용 나폴레옹 재킷’은 “정교한 디테일이 돋보인다”는 찬사를 받았다.

그에게 전국기능경기대회는 단순한 경쟁의 장이 아니다.

“내 기술이 아직 살아 있다는 걸 확인받고 싶어서 출전한다” 고 했다.

양복 부문이 폐지되자 그는 망설임 없이 양장 기술을 새로 익히고, 의상디자인 부문으로 분야를 바꿔 도전했다.

“두렵기도 했지만, 기술자에게 도전은 꼭 필요합니다. 배움을 멈추면 손끝도 멈추게 되니까요.”

그렇듯 그의 삶은 배움의 연속이었다. 학업을 중단했던 그는 뒤늦게 검정고시를 통과하고, 전남대 경영자과정과 한국기술교육대학원까지 수료했다. 양복기능사부터 양장기능사, 패션디자인산업기사까지 자격증도 하나하나 쌓아 올렸다. 광주 연세직업학교에서 강의하며 후배 양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기술은 나눌수록 깊어집니다. 누군가는 가르쳐야 이 길이 이어지죠. 그게 제 몫이라 생각합니다.”

최근 그는 ‘93세 한국인 디자이너가 미국에서 현역으로 활동 중’이라는 신문기사를 읽었다. 그 순간, 그의 눈이 번쩍 띄었다고 한다. “해남의 80대 할머니가 아직도 재봉틀을 돌리고, 일본에서는 103세 이발사도 있더군요. 저도 그분들처럼, 힘닿는 데까지 바늘을 놓지 않을 겁니다.” 내년에도 기능경기대회 출전하겠다고 말하는 그의 환한 얼굴에는 젊은이 같은 자신감이 엿보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