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두 재배면적 전국 1위 경북 의성군, 산불 피해로 올해 생산량 30% 이상 감소 예상
〃 2위 김천시, 명품 자두 생산 확대 박차

김천 자두. 김천시 제공
최근 역대 최악의 산불로 국내 1위 자두 생산지인 경북 의성군의 자두 생산량이 큰 타격을 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근 김천시가 명품 자두 생산을 확대하고 나섰다.
김천시는 올해부터 자두 지리적 표시제 참여 농가를 전체 농가로 확대하고 포장단위를 소포장(3㎏ 들이)으로 전환하는 ‘자두 지리적 표시제 활성화 사업’을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김천 자두의 품질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2025년 김천 자두 지리적 표시 등록단체 자체 품질기준 교육’을 진행했다. 김천 자두의 생산자 단체로 등록된 김천자두연합회가 주관한 이번 교육에는 권역별 1200여 농가가 참여했다.
김천 자두는 2009년에 지리적 표시 제59호로 등록된 후 꾸준한 품질관리로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김천 자두 재배면적(2023년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경영체 등록 정보 현황)은 1271㏊로, 의성 1506ha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넓다.
김천시 관계자는 “최근 산불 등으로 농업 현장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리적 표시제를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와 농가 수취 가격 상승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의성군은 연간 1만 3000t의 자두를 생산하며 전국 자두 생산량의 25%를 차지한다. 하지만 최근 대형 산불로 자두, 사과 등 470㏊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돼 올해 자두 생산량이 전년 대비 30% 이상 크게 떨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의성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자두는 통상 2~3년 생 묘목을 심은 뒤 3년 후 첫 수확을 하고, 7~8년이 지나야 제대로 수확할 수 있다”면서 “상당 기간 수확량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