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탈춤 재해석의 무대

국립남도국악원은 전남 진도군 소재 옥주골 창작소에서 ‘해설이 있는 풍류음악회’를 운영한다. 사진은 행사 포스터.
국립남도국악원이 전통 예술에 해설을 더한 풍류음악회를 선보인다.
전남 진도군 옥주골 창작소에서 열리는 이번 무대는 21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박인수 교수가 ‘탈춤의 선: 잊혀진 의미’를 주제로 관객과 만난다.
박 교수는 국가무형문화재 ‘봉산탈춤’ 이수자이자, 경상도 탈춤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작품 ‘섞어잽이’로 주목받는 연희예술가다. ‘섞어잽이’는 탈춤의 전통 형식에 기반해 학생들과 함께 다양한 몸짓과 움직임을 새롭게 엮은 창작 공연으로,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 시도로 평가받는다.
이날 무대에는 ‘섞어잽이’ 외에도 민중의 삶을 반영한 탈춤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이 함께 오른다. 국가무형문화재 줄타기 이수자인 신재웅 씨가 출연해 신명나는 몸짓으로 탈춤의 흥과 해학을 선보일 예정이다.
국립남도국악원 관계자는 “이번 풍류음악회는 전통 탈춤의 예술성과 철학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해설과 공연을 함께 즐기며 전통문화의 맥을 이어가는 장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