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북지역에서 판매 중인 디카페인 커피를 조사해보니 카페인 제거율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한달간 도내 11개 시군 커피전문점 50곳에서 판매되는 디카페인 아메리카노를 대상으로 카페인 농도 조사가 진행됐다.
온라인상에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들은 조사에서 제외했다.
분석 결과 도내 디카페인 커피의 카페인 농도는 평균 15.7mg/L로 평균 95.24%의 카페인 제거율을 보였다. 국내 디카페인 표시기준(90% 이상 제거)에 못 미친 경우는 단 두 곳에 그쳤다. 현재는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캔 커피 등만 표시기준법 적용을 받아 이들 커피숍에 대한 행정처분은 없다.
디카페인 제조방식에 따른 카페인 잔류량 조사도 진행됐는데, 물에 대한 카페인 용해도를 이용한 제거방식인 스위스워터 공법이 가장 높은 95.62%의 제거율을 보였다. 사탕수수에서 유래한 천연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슈가케인 공법이 94.12%, 고온고압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제거방식인 CO2 초임계 추출법이 92.48%로 각각 나타났다.
조사 대상 50곳 가운데 24곳이 스위스워터 공법, 12곳이 슈가케인 공법, 4곳이 CO2 공법으로 카페인이 제거된 원두를 사용했다. 나머지 10곳은 원두 구입처를 밝히지 않아 조사가 이뤄지지 못했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궁금증이 큰데다, 소비자단체들이 국내 디카페인 표시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어 조사하게 됐다”며 “도내 디카페인 커피가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됐지만 카페인에 민감한 임산부, 심혈관계 질환자 등은 제품정보를 참고해 섭취에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미국은 97%, EU는 99%로 국내보다 디카페인 표시 기준이 엄격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