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수원에 태양광 발전 사업 주민 설득 실패
금융권만 배 불리는 사업구조도 비난 높아
여건 변화 없으면 발전사업 허가권 반납 검토
한국수자원공사가 용담댐에 설치하려던 수상태양광사업이 갈등만 야기한채 중단됐다. 예상보다 거센 주민 반발과 금융권만 배를 불린다는 여론에 사업을 접는 수순을 밟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청사 전경
10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수자원공사 용담댐지사가 최근 수상태양광사업을 중단하겠다는 공문을 보내왔다. 수자원공사는 2018년 전북도민들의 식수원인 용담댐 상류에 축구장 39배 크기의 200㎿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을 추진했었다.
도민의 식수원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추진은 시작부터 많은 우려와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2019년 1차 시도에서 해당 시군의 반대로 무산된 이 사업은 올해 다시 주민 반발에 부딪쳐 발전사업 허가도 반납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용담댐 수상태양광 사업은 주민동의 조건부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했으나 결국 주민반발이 걸림돌이 됐다.
수공은 올해 용담댐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전주 등 도내 6개 시군에서 사업설명회를 열고 주민 동의를 구할 예정이었으나 5월 진안군에서 열린 철 설명회에서부터 거센 반발을 샀다.
이에 수공은 전주, 김제 등 타 시군의 공론화 절차를 중단하고 사업 중단을 결정했다.
더구나 총 432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한국수자원공사가 13.4%(58억원), REC 수요자 및 지방공기업 6.6%(29억원), 인근주민 4.0%(17억원), 금융기관 76.0%(328억원) 등으로 짜여져 금융기관만 배를 불린다는 지탄을 받았다.
수공은 금융기관에 배정된 지분 76%에 진안군이나 지역농협,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의견을 내놨으나 주민들을 설득하는데 실패했다.
수공은 올 연말까지 여건 변화가 없을 경우 용담댐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허가를 반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