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감도. 전북도 제공
전북도가 정부안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
전북도는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1228건 사업, 총 9조 4585억원을 확보했다고 29일 밝혔다.
도가 예산 편성 초기부터 ‘지휘부-정치권-실무’ 삼각 공조 체제를 가동해 기재부 핵심 라인과의 직접 소통과 세종·서울 상주팀 운영으로 실시간 대응하고, 지역 의원들의 지원이 더해진 성과로 풀이된다.
이번 정부안에 신규사업은 307건, 2445억원이 반영됐다. 초기 배정액은 적지만 추후 총사업비는 11조 8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예산 삭감으로 지연됐던 새만금 개발 역시 핵심 예산을 확보했다. 새만금 국제공항(1200억원), 인입철도(150억원), 지역 간 연결도로(1630억원) 등 SOC 3대 핵심사업이 요구액 전액 반영되며 개발 정상화가 기대된다. 여기에 새만금 내부개발(1760억원)과 수목원(871억원) 예산도 확보했다.
전북의 미래 성장동력을 위한 사업 예산 성과도 눈에 띈다. 정부예산안에 피지컬 AI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조성사업(400억원)과 전북 인공지능 신뢰성 혁신 허브센터(10억원)가 포함되며 국가 AI 연구거점으로서의 위상을 다졌다.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제조공정 친환경 안전관리 지원센터(15억원), 전기상용차용 멀티 배터리 평가 기반 사업(22억원)을 확보했다.
전북도는 국회 심의 단계에서 추가 예산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9월부터 본회의 의결까지 상임위·예결위 심사 과정에서 과소·미반영 사업의 증액을 요구하고, 지역구 의원을 통한 정책 질의와 정치권 설득도 병행할 계획이다.
김관영 지사는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등 대규모 계속사업 종료로 어려운 여건에서도 역대 최대 규모 반영 성과를 거둔 것은 도민과 정치권이 힘을 모은 결과”라며 “국회 심의 단계에서도 끝까지 예산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